목차
추천사
이병령 | 4
이백순 | 6
김근태 | 8
머리말 ‘레거시 핵정치 양대 담론’을 넘어 대안 핵안보 담론을 제시한다 | 10
1장 북한은 핵무기를 보유해도 사용할 수 없을까? / 이성춘
1. 문제 제기
2. 북한의 핵무장과 핵능력 고도화 및 확전 가능성
3. 북한의 핵무기 사용 가능성에 대한 단계적 접근
4. 결론
2장 북한의 미사일 위협 평가 / 권용수
1. 문제 제기
2. 미사일 개발 과정(김정은 시대)
3. 미사일 개발 및 핵심기술 능력
4. 북한의 미사일 위협 평가 및 전망
5. 결론
3장 한국의 재래식 무기와 3축체계로 북한 핵미사일 대응이 가능할까? / 박범진
1. 문제 제기
2. 한국의 재래식무기로 북한 핵미사일 대응이 가능한가?
3. 한국형 3축체계의 실제와 한계
4. 한국형 3축체계 운용의 한계 극복 방안
5. 결론
4장 ‘확장억제’ 전략의 불편한 진실 / 송승종
1. 문제 제기: 트럼프 재선과 한반도
2. 미국 확장억제의 문제점
3. 우크라이나 전쟁의 교훈
4. 아킬레스의 건(The Achilles’ Heel): 대통령의 의지
5. 결론: 한국의 핵자강을 가로막는 장애물
5장 미국의 ‘확장억제 정책’에 계속 의존해도 될까? / 최승환
1. 미국 확장억제 정책에 의존
2. 미국 확장억제 정책에서 탈피
3. 결론
6장 대만 해협 전쟁 및 한반도 전쟁의 동시 또는 연쇄 발발 시
한미일 공조와 미국의 확장억제는 작동할 것인가? / 김지용
1. 문제 제기
2. 중국의 해군력 증강과 대만 침공 가능성
3. 대만 해협 전쟁 시뮬레이션 결과: 한미일 공조와 미국 확장억제의 한계
4. 결론
7장 인구절벽과 군 병력 부족 및 자체 핵무장 / 이대한
1. 문제 제기
2. 선행 연구
3. 한국의 인구절벽으로 인한 안보적 위기
4. 자체 핵무장의 효율 및 인구절벽 문제의 활용
5. 결론
8장 한국의 핵잠재력 확보 필요성과 전략 / 전진호
1. 서론
2. 핵잠재력과 한일, 한미 원자력 협력
3. 핵잠재력과 한미 원자력협정
4. 일본의 핵잠재력과 미일 원자력협정
5. 한미협정과 미일협정의 핵잠재력 비교
6. 한일 원자력협정 분석
7. 한국과 일본의 핵잠재력 비교
8. 한일 원자력 협력을 통한 핵잠재력 확보
9. 한미 원자력협정의 조기 개정
10. 결론
9장 한국의 핵추진잠수함의 필요성과 확보 방안 / 문근식
1. 핵추진잠수함의 탄생 배경
2. 핵추진잠수함의 추진 원리
3. 핵추진잠수함의 작전 운용 개념
4. 디젤잠수함과 핵추진잠수함의 능력 차이
5. 세계 각국의 핵추진잠수함 개발 경쟁
6. 핵추진잠수함 확보 필요성
7. 한국의 핵추진잠수함 독자 건조 가능성과 확보 방안
10장 전작권 전환과 북핵 포괄적 응전전략 및 군구조 개편 / 정경영
1. 서론
2. 전작권 전환과 북핵 포괄적 응전전략
3. 전작권 전환의 목적과 추진 전략
4. 군구조 개
5. 결론 및 정책 제안
11장 한국의 단계적 핵무장 추진 전략 / 이대한
1. 문제 제기
2. 현 안보 정세에 대한 비판적 검토
3. 자체 핵무장 추진 전략
4. 핵보유국 한국의 입장: 시인 또는 거부
5. 결론
부록 Ⅰ
부록 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