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 4
PART 1 | 사회 문제 해결의 질적 성장에 기반한 전환기 산업정책
[산업정책 2.0] ‘투 트랙 성장전략’으로 ‘포용 성장’ 구현 · 12
1. 기존 산업정책의 한계 · 13
2. 전환기 산업정책, 국가 단위 비교우위 재구축이 우선이다 · 18
3. 포트폴리오 대체식 신산업 육성에서 포트폴리오 운용 기반 산업진화로 · 23
국가 단위 산업전환의 견인차, 재벌그룹의 제2 창업 · 32
1. 국가산업개혁의 주체 · 32
2. 재벌 3세들의 투자 행보 · 34
3. 제2 창업 운용 혁신 모델, ‘사업 진화형’, ‘사업 투자형’, ‘투자 개발형’ · 37
[낙수효과 2.0] 기업 간·세대 간 동반성장 플랫폼 · 48
1. 우물 안 공존정책이 공멸을 부른다 · 50
2. 보호·견제 중심 중소기업 정책의 한계 · 52
중소기업 생태계 특성 · 53
시장 자율적 자연도태식 구조조정의 한계 · 55
중소기업의 글로벌화는 중소기업계의 20년 이상 해묵은 숙제 · 56
3. 낙수효과 2.0을 넛지하는 동반성장 모델 · 58
한국 대기업의 독특한 3대 위상과 앵커 대기업의 사회적 책무 · 58
[재벌개혁 2.0] 포지티브섬 게임 플랫폼 · 60
[중소기업정책 2.0] 민생경제주체이자 국가 경제 아킬레스건 · 63
[양극화 해법 2.0] 용강부약 플랫폼 · 70
PART 2 | 관세전쟁 시대, FTA 2.0 통상 모델
[통상 모델 2.0] 상품 수출 시장에서 ‘국가 아젠다 맞춤형 개발 시장’으로 전환 · 84
[신남방정책 2.0] 한·아세안 경제 협력 뉴 프레임워크 · 88
국제 사회 ‘개발 아젠다 맞춤형 융복합사업’ 예시 · 97
1. 현지 문제 해결 시장과 ‘운용 혁신’ · 97
2. 한미 경제동맹 확장과 국제 신용 제고 기회 · 120
[내수 시장 확장, FTA 2.0] 경제공동체형 K-경제특구 사업 · 134
1. 상품 제조·수출형과 도급공사 마진형 통상·산업 모델의 국부 창출 한계 · 135
2. 국가 단위 기업가 정신 발휘, 팀코리아 투자 조직화 · 138
장기적 개발이익(+미래 세대 경제영토+SOC 투자 기회) 공유형 해외 사업 · 138
K-경제특구, ‘제조 거점 투자와 신도시 개발사업’의 결합형 종합개발 · 139
새로운 사업 현장인 국제 사회 ‘신도시(업종융합·기술 융합의 場) 플랫폼’ 선점 · 157
3. [사례] 미국 러스트벨트 전통산업 재건과 도시 재생사업 · 162
[첨단산업] 상용·응용 R&D 기반 첨단산업의 글로벌 테스트베드 · 201
1. 첨단 미래기술 상용화 R&D 허브 · 201
2. 첨단산업 소부장 R&D 허브 · 207
3. 신기술 융합의 사업 현장(신도시) 플랫폼 선점 · 208
[과학기술정책 2.0] 초격차 R&D 경쟁에서 산업기술 R&D 파트너십으로 · 212
[문화산업] 한류 콘텐츠 기반 문화산업 · 219
1. 대중문화 한류 기반 엔터테인먼트 산업 · 220
2. 사회 전 부문 교육 콘텐츠 IP 산업 · 221
3. 소비재 산업의 문화산업화 · 223
[관광산업] 세계 목적성 관광의 허브, 테마 관광대국 · 226
1. 한류 테마 기반 에듀투어 · 230
2. 글로벌 산업 수도로서의 MICE 관광 · 234
3. 한류 테마 관광 · 238
[북한개발 사례] 체제 불안을 야기하지 않는 경제개발 비전, 관광 입국 · 239
[부록]
[잠재성장률 2.0] 잠재역량 운용 기반 · 247
산업 2.0 전환을 위한 FDI 유치 전략 · 255
Q&A · 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