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통사론에서 에이전트까지 - 도스, 코퍼스, 그리고 미래
Part I. 에이전틱 AI의 탄생과 흐름
1장. 에이전트 생태계의 태동 - 지능의 진화, 경험의 재편
1.1. 폭풍의 서막, AI 러시
1.2. Agent vs App: 앱의 종말, 아니면 진화?
1.3. Agentic UX: 사용자 기대와 인터페이스 변화 - 클릭에서 대화로, 대화에서 행동으로
2장. 챗봇 이후의 세계 - 에이전트의 구조와 작동 원리
2.1. 챗봇을 넘어 행동하는 에이전트로: 한계의 자각과 새로운 시작
2.2. 에이전트 해부학: LAMT - 지능(L), 자율성(A), 기억(M), 행동(T)
2.3. 에이전트들의 협업: MAS - 집단 인공지능의 출현
Part II. 에이전트 테크 스택
3장. 에이전트 프레임워크 - 협업하는 AI 설계 전략
3.1. 에이전트 구축의 첫걸음
3.2. 에이전트 프레임워크의 개념과 필요성
3.3. 에이전트 흐름 제어: 선형 구조와 비선형 구조
3.4. 개발자가 설계하는 에이전트 루프의 구성 원리
3.5. 다중 에이전트로의 확장: 실무적 첫걸음과 프레임워크 연계
3.6. MAS의 난제와 해결방안
4장. 에이전트 프로토콜 - API, MCP, A2A 통신의 진화
4.1. 서론: 에이전트, 세상과의 연결고리가 필요하다
4.2. API: 에이전트의 "손과 발"이자 세상으로 열린 창
4.3. API 연동의 현실적 과제와 표준화 노력
4.4. 에이전트 간 통신(A2A) 프로토콜의 등장
4.5. MCP: 분산된 스킬 생태계를 위한 표준 프로토콜
4.6. Google A2A: 자율 에이전트 협력 생태계를 위한 표준 프로토콜
4.7. 다른 주요 프로토콜 접근 방식들 및 개요
4.8. 결론: 프로토콜, 에이전트 생태계의 대동맥
Part III. 에이전트 경험
5장. 에이전틱 라이프 - 일상의 재구성
5.1 에이전틱 라이프란 무엇인가?
5.2 에이전틱 라이프 구현의 두 날개: 초개인화와 능동성
5.3 에이전틱 디바이스들: 삶의 모든 공간에서
- AI PC, AI Phone, AI Car, AI Home
5.4 심리스 라이프: 시공간을 넘나드는 연속적인 경험과 미래 일상
5.5 에이전틱 라이프의 명암
6장. 에이전틱 DX - 업무의 재구성
6.1 에이전틱 DX의 핵심 가치(Core Values)
6.2 성공적인 전환을 위한 사전 준비
6.3 PoC 설계 및 실행
6.4 에이전틱 DX 시스템 구현, 통합 및 고도화
6.5 에이전틱 DX의 비전, 도입 전략 및 과제
Part IV. 에이전틱 시대
7장. 에이전트 공생 - 슈퍼휴먼
7.1 공생의 조건: 지능의 차이와 증강
7.2 "슈퍼휴먼"의 등장: 잠재력의 재정의
7.3 공생의 그림자: 에이전트 시대의 GELSI 딜레마
- Governance, Ethics, Legal, Social
7.4 GELSI 기반 책임 있는 공생 로드맵
7.5 미래의 인간: 에이전틱 시대의 역할과 역량
7.6 결론: 에이전틱 시대, 공생을 통한 인류의 새로운 도약
8장. 부록 - AX(에이전틱 전환) 플레이북
에필로그: 에이전트, 인간을 확장하는 여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