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면서
책을 읽기 전에
1장 보고서의 이해
보고서의 개념과 이해
신언서판, 보고를 잘하는 것은 능력이며 장점
보고는 보고자의 판단을 확인하는 과정
지시를 받기 전의 신속한 보고가 의미와 가치가 있음
초상지풍, 보고에 따른 결과는 최종 보고자의 몫
평상시 쌓은 신뢰의 필요성
2장 보고서의 준비와 작성
1. 보고서의 준비
보고의 기본, 업무 전문성
보고의 회피는 더 큰 문제
보고서를 작성하는 이유에 대한 명확한 인식
정성과 최선을 다하는 자세
2. 자료의 수집과 확인
기존 보고서와 참고 사례 확인
관계자 의견 청취의 필요성
보고 전까지의 브레인스토밍
3. 보고서 작성의 지원과 활용
중요한 부분은 강조 처리
보고서의 디테일에 집중
통계 데이터를 이용한 이해도와 신뢰도 향상
보고서를 관통하는 통일감과 일관성
모범적인 보고서를 참고
효율적인 보고서 작성을 위한 템플릿 활용
4. 보고서 작성
결론을 제목에 넣기
의사결정 안(案)을 소신 있게 제시하기
작성된 보고서를 완벽하게 이해하기
설명을 듣지 않아도 이해되는 보고서
보고서 형식에 집착하지 않는 유연성
폼생폼사, 멋진 보고서
간결한 한 장의 보고서
가독성 높이기
결론의 위치는 내용 전개를 고려하기
직장의 보고서와 학교 리포트의 차별성
고객 지향의 보고서, 상사 지시에 대한 해답
5. 보고서의 검증과 확인
보고 전에 여러 번 읽기
보고 전에 비판하고 반대해 보기
중간 관리자는 과감하게 수정하기
3장 보고의 요령과 실제
1. 보고의 의의와 평가
놓치지 말아야 할 보고의 타이밍
편하게 보고할 수 있는 배려
보고가 끝날 때까지 경청하기
상하 보고 계통과 절차 준수
대외비 보고서의 유지는 현실적으로 불가
2. 보고의 준비
사전 보고의 필요성
보고를 위한 시나리오 작성
실전처럼 보고 연습
보고서는 2부를 준비
보고자용 원고와 메모는 별도로 준비
보고서와 별도로 PC 파일 소지
보고하는 당일에는 아침형 인간으로
3. 돌발 변수의 대비
상사의 컨디션을 확인하기
보고 시간이 단축될 우려
상사의 기억력을 확인하기
보고 중 의견 충돌
4. 보고와 보고받기
결재판을 이용한 보고
상사가 보고 내용을 놓치지 않게 하기
자신감 넘치는 보고의 효과
확증 편향의 경계
감동적인 연설문과 같은 여운이 남는 보고
준비한 보고에 대한 칭찬과 격려
질책은 최대한 자제하기
의사결정은 신속하게
4장 보고서의 후속 조치
미루지 말아야 할 수정 보고
보고가 완료된 보고서의 보관
보고의 완결은 경과 보고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