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차례 ◆
Part 1 물리화학적 성질
Chapter 1 용해도
1.1 서론
1.2 용해도 분류 기준
1.3 용해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
1.3.1 약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1.3.2 용매에 따른 용해도 종류
1.3.3 용해도 측정법
1.4 맺음말
Chapter 2 투과도
2.1 서론
2.2 기본 개념
2.2.1 막 투과 기전
2.2.2 투과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
2.3 투과도 평가
2.3.1 PAMPA
2.3.2 Caco-2 cell-based permeability
assay
2.3.3 MDCK cell-based permeability assay
2.4 투과도 평가 결과의 해석 및 활용
2.5 투과도 평가 시 고려사항
2.6 맺음말
Chapter 3 혈장단백결합
3.1 서론
3.2 혈장 내 주요 약물결합 단백질
3.3 혈장단백결합 평가방법
3.3.1 평형투석법
3.3.2 한여과 평가법
3.3.3 초원심분리 평가법
3.4 혈장단백결합 실험결과 해석 및 활용
3.5 혈장단백결합 평가 시 고려사항
3.5.1 낮은 회수율
3.5.2 높은 혈장단백결합률을 가진 약물의 혈장단백결합 평가방법
3.6 맺음말
Part 2 대사 및 수용체
Chapter 4 대사 기질로의 후보물질 특성 평가
4.1 서론
4.2 대사 과정
4.3 대사효소
4.3.1 Phase I 대사
4.3.2 Phase II 대사
4.4 대사 특성 평가
4.4.1 In vitro systems
4.5 대사평가 실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In vitro 대사 파라미터
4.5.1 Substrate-depletion 법
4.5.2 Metabolite-formation 법
4.6 대사평가 실험법
4.6.1 대사안정성 평가 실험
4.6.2 Reaction phenotyping 평가 실험
4.7 맺음말
Chapter 5 후보물질의 대사 억제 특성 평가
5.1 서론
5.2 신약개발 주기 안에서의 in vitro
inhibition assay의 중요성 및 활용
5.3 대사 억제 작용 메커니즘
5.4 대사 억제 특성 평가 실험
5.4.1 Reversible inhibition assay
5.4.2 Time-dependent inhibition assay
5.5 in vitro 억제 파라미터의 활용
Chapter 6 후보물질의 대사 유도 특성 평가
6.1 서론
6.2 유도 작용
6.2.1 유도제의 작용 메커니즘
6.2.2 특징
6.2.3 유도제에 의한 활성 효소의 변화
6.3 후보물질의 유도 가능 여부 평가를 위한
study 디자인
6.3.1 in vitro study 디자인
6.3.2 in vivo study 디자인
6.4 후보물질의 유도 가능성 평가
6.4.1 Fold-change method
6.4.2 Correlation method
6.4.3 Basic kinetic model
6.5 in vitro-in vivo
extrapolation(IVIVE)
6.5.1 Mechanistic static model
6.5.2 PBPK modeling
6.6 맺음말
Chapter 7 약물 수송체에 대한 후보물질의
작용 평가
7.1 서론
7.2 약물 수송체의 종류와 역할
7.2.1 MDR1과 BCRP
7.2.2 OATP
7.2.3 MRP
7.2.4 BSEP
7.2.5 MATE
7.3 수송체를 매개한 약물의 세포내 분포
7.3.1 세포 투과도가 큰 경우
7.3.2 세포 투과도가 작은 경우
7.4 수송체에 의해 일어나는 약물상호작용의 예
7.4.1 Sitagliptin-cyclosporin
7.4.2 Fimasartan-ketoconazole/
rifampicin
7.4.3 Cerivastatin-gemfibrozil
7.4.4 Metformin-cimetidine
7.5 in vitro 수송체 평가방법
7.5.1 Vesicular assays
7.5.2 Sandwich-cultured hepatocytes
7.6 맺음말
Chapter 8 Translation 방법론의 간략한 소개
8.1 서론
8.2 생체이용률(F)의 추정
8.2.1 Fa의 추정
8.2.2 Fg의 추정
8.2.3 Fn의 추정
8.3 경구 흡수속도의 추정
8.4 Vd의 추정
8.4.1 PBPK 방법
8.4.2 Allometry 방법
8.5 CL의 추정
8.6 약물상호작용 실험결과의 translation
8.7 혈장단백결합률의 의미에 관한 해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