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함께 쓰고 읽는 글
Ⅰ. 한반도 영세중립 통일방안 연구와 사회운동(구술: 강종일)
1. 일제 강점기에 보낸 어린 시절
2. 통역장교 시절 겪은 4·19 혁명과 5·16 쿠데타
3. 언론사 수습기자와 남베트남주재 미국 국제개발처(USAID) 근무
4. 외무공무원으로서 미얀마 근무
5. (주)대우에 이사로 입사해 리비아 벵가지에서 근무한 때
6. 학업과 미국 유학 준비
7. 하와이대학교 대학원에서 수학한 미국과 조선의 관계에 대한 연구
8. 박사학위 논문의 주제와 내용
9. 고종의 대미 외교와 영세중립정책
10. 조선의 영세중립과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배
11. 해방 이후 한반도 영세중립운동이 갖는 의미
12. 귀국 이후 평화통일운동에 참여한 계기와 한반도중립화연구소 설립
13. 한반도의 통일과 영세중립 방안에 대한 학계와 시민사회의 이해
14. 김용중 선생의 독립운동과 영세중립 통일을 위한 노력
15. 한반도중립화연구소의 활동
16. 정치사회 변동과 한반도의 영세중립 연구 흐름
17. 영세중립 방안에 대한 시민사회와 주변국의 인식
18. 한반도 비핵화와 영세중립 통일방안의 관계
19. 한반도 지정학과 영세중립화의 조건
20. 「한반도 중립화 헌장」 제정과 그 내용
21. 국제사회를 향한 한반도 영세중립을 위한 노력
22. 북한이 주장하는 스위스식 한반도 영세중립 방안
23. 북한의 스위스식 무장중립방안에 대한 평가
24. 국제사회의 다양한 영세중립국가
25. 한반도 영세중립 통일방안에 대한 학계와 시민사회의 반응
26. 2000년 6·15남북공동선언과 한반도 영세중립 통일방안의 내적 연관성
27. 한반도 영세중립통일과 동아시아 국제관계
28. 한반도 중립화와 한미동맹의 관계
29. 한반도의 평화협정 체결과 영세중립의 길
Ⅱ. 진정한 통일은 민간의 화해와 협력으로 이루어집니다(구술: 김영주)
1. 유년시절 감리교 전도사와의 만남
2. 신학대학에서 민주화운동 경험과 기독교농민회 활동
3. 전국목회자정의평화실천협의회 조직과 NCC 활동
4. 인권과 통일문제에 대한 참여와 인식
5. 1993년 남북인간띠잇기대회 기획
6. 북한의 남한 교회 방문 실패와 북한 방문 경험
7. 감리회 활동과 남북평화재단 창립과 사업
8. 남북교류의 경험과 정부 독점 방식의 통일운동 방식에 대한 견해
9. 평화통일 희년선언의 의미
10. 향후 통일운동에 대한 전망과 역할
Ⅲ. 마음으로 주고 받는 남북한의 온정: 사랑의 연탄나눔운동(구술: 원기준)
1. 학창시절 공부와 신앙, 사회의식 형성
2. 농촌 봉사활동과 태백 탄광촌의 인연
3. 보안대의 간첩 조작과 고문,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의 구명 활동
4. 고문으로 만드는 간첩 조작과 하나님 앞에 선 신앙
5. 탄광 노동자들과 함께한 민주주의 사회운동
6. 탄광지역 노동조합 결성과 광업소 노동조건 개선, 성완희기념사업회 활동
7. 『광산노동자신문』 제작 과정과 노동자들의 변화
8. 정부의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과 노조탄압
9. 지역 광업소의 폐광과 석탄산업의 활로 모색
10. 사랑의 연탄나눔운동 사업과 북한 방문
11. 북한지역 연탄나눔 사업 추진 과정과 경과
12. 온정리 마을에서 연탄 하역작업으로 만난 북한 사람들
13. 북한 지역의 연탄 배송과 하역, 주민들에게 분배하는 방식
14. 생활밀착형 대북지원사업
15. 사랑의 연탄나눔운동에 참여한 사람들의 경험담
16. 학생들과 함께하는 평화나눔교육
17. 유엔과 국제사회의 대북한 제재에 대한 단상
18. 따뜻한 한반도포럼과 남북협력사업의 활로 모색
19. 연변지역 조선족 동포 지원 협력사업과 북한의 임농복합사업
20. 남북교류의 다양한 방향과 지방정부 차원의 협력 사업
21. 남북교류가 가져오는 여러가지 변화의 가능성
22. 남북교류 분야의 전문성과 역할, 성격에 대하여
23. 사랑의 연탄나눔운동이 남북교류협력에 끼친 영향과 평가
Ⅳ. 평화로운 세상을 향한 길: 시민사회운동은 이렇게(구술: 방용승)
1. 꿈을 꾸는 어린 시절과 5·18 광주
2. 전주대학교, 1987
3. 전북지역 청년노동운동
4. 노동자 통일운동과 분단 문제
5. 전북겨레하나 결성 과정
6. 남북교류협력과 민간 거버넌스
7. 여행협동조합 평화소풍에 대하여
8. 2017년 무주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시범공연 응원단 조직
9. 3·1운동 100주년 기념 1000인 평화원탁회의
10. 청소년 평화통일교육과 청소년 기자단
11. 평화통일에 대한 전망과 북한 사회에 대한 이해
Ⅴ. 평화와 통일을 노래하는 불굴의 스포츠 아리랑(구술: 김경성)
1. 포천스포츠센터 설립과 중국에 꽌시를 만들었던 과정
2. 홍타스포츠센터 임대 및 운영의 과정
3. 북한 축구단과의 연결 과정
4. 리찬명과의 만남과 경평축구단 정신
5. 축구 지도를 통한 북한으로부터의 인정과 남북체육교류 계약
6. 북한의 핵실험과 남북 축구 교류
7. 북한 청소년 대표팀의 전국 순회와 이회택과 리찬명의 만남
8. 남북 축구 선수단의 끊임없는 교류와 균형적 교류에 관한 생각
9. 어린 선수들의 남북교류 의의와 마라톤, 탁구 합동 훈련
10. 북한과의 교류 매개체로서의 경험과 북한에서 단장으로 세웠던~?
11. 정부 차원에서의 교류 역기능
12. 북한이 바라보는 남한 정부의 모습, 그리고 한미워킹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