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사도 전통으로 재구성한 교리학 - 011
1. 들어가는 말
2. 왜 사도 전통인가?
3. 사도 전통으로 재구성한 교리의 특징
4. 맺음말
제2장 사도 전통과 성서 - 020
1. 들어가는 말
2. 성서론 논쟁의 쟁점들
3. 사도 전통으로 본 성서
4. 맺음말
제3장 아버지 하나님 - 030
1. 들어가는 말
2. 신론의 쟁점들
3. 사도 전통으로 본 신론
4. 맺음말
제4장 기독론: 신인(神人)이신 예수 - 039
1. 들어가는 말
2. 기독론의 쟁점들
3. 사도 전통으로 본 기독론
4. 맺음말
제5장 성령 하나님 - 048
1. 들어가는 말
2. 성령론의 쟁점들
3. 사도 전통으로 본 성령론
4. 맺음말
제6장 신앙론: 신앙과 행위의 관계 - 058
1. 들어가는 말
2. 신앙론의 쟁점들
3. 사도 전통으로 본 신앙론
4. 맺음말
제7장 교회론: 에클레시아 교회론 - 068
1. 들어가는 말
2. 교회론의 쟁점들
3. 사도 전통으로 본 교회론
4. 맺음말
제8장 인간론: 하나님의 자녀로서의 인간 - 078
1. 들어가는 말
2. 인간론의 쟁점들
3. 사도 전통으로 본 인간론 …
4. 맺음말
제9장 구원론(1): 구원이란 무엇인가 - 088
1. 들어가는 말
2. 구원에 관한 쟁점들
3. 구원이란 무엇인가?
4. 맺음말
제10장 구원론(2): 구원의 수단으로서의 믿음 - 098
1. 들어가는 말
2. 구원의 수단에 대한 쟁점들
3. 구원의 수단으로서의 믿음
4. 맺음말
제11장 종말론: 예수 중심의 세계관 - 107
1. 들어가는 말
2. 종말론에 대한 쟁점들
3. 사도 전통으로 본 종말론 …
4. 맺음말
제12장 예배론: 예수를 재현하는 축제(祝祭) - 115
1. 들어가는 말
2. 예배론에 대한 쟁점들
3. 사도 전통으로 본 예배론 …
4. 맺음말
제13장 삼위일체론: “왜 하나님이 인간이 되셨나?”… - 124
1. 들어가는 말
2. 삼위일체론에 대한 쟁점들
3. 사도 전통으로 본 삼위일체론 …
4.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