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총론 10
1장 외교, 외교정책, 외교정책 연구 19
Ⅰ 개요 21
Ⅱ 외교와 외교정책 22
1. 외교의 의미 22
2. 외교의 형태 25
Ⅲ 외교와 외교정책 30
1. 외교정책의 의미 31
2. 외교정책과 국내 정책 33
3. 외교 행위자 35
4. 외교의 수단 36
5. 외교정책 연구와 외교정책 분석 37
6. 외교정책 연구와 실증주의 40
Ⅳ 대표적인 비교외교정책(Comparative Foreign Policy) 학자들 43
1. 스나이더(Richard C. Snyder), 브룩(H. W. Bruck), 새핀(Burton Sapin) 43
2. 해롤드와 마가렛 스프라우트(Harold Sprout & Margaret Sprout) 46
3. 브레처(Michael Brecher) 46
4. 로제나우(James N. Rosenau) 49
5. 이벤트 데이터와 외교정책 연구 54
6. 1980년대 이후 외교정책 분야 연구 동향 55
Ⅴ 요약 58
2장 합리성과 외교정책 연구 61
Ⅰ 개요 63
Ⅱ 외교정책 연구와 합리성 64
1. 캐시맨(Greg Cashman)의 합리적 모델 64
2. 합리적 행위자 모델(Rational Actor Model) 67
3. 합리성과 게임 이론 69
4. 시몬(Herbert Simon)의 제한된 합리성(Bounded Rationality) 74
5. 스타인브루너(John Steinbruner)의 사이버네틱(Cybernetics) 모델 75
6. 전망 이론(Prospect Theory) 79
7. 민츠(Alex Minz)의 폴리휴리스틱(Poliheuristic) 모델 83
Ⅲ 요약 85
3장 외교정책 연구와 개인 수준 요인 87
Ⅰ 개요 89
Ⅱ 외교정책 연구와 개인 수준 분석 90
1. 심리학적 모델 90
Ⅲ 외교정책 연구와 개인 수준 이론들 95
1. 지각(Perception)과 인지(Cognition) 95
2. 인지적 제약(Cognitive Constraints) 97
3. 오인(Misperception) 100
4. 거울 이미지(Mirror Image) 102
5. 신념(Belief) 103
6. 스키마(Schemas) 105
7. 운영 코드(Operational Code) 106
8. 귀인 편향(Attribution Bias) 109
9. 유추(Analogy) 111
10. 리더십 스타일 112
11. 성격(Personality) 115
12. 감정(Emotion) 116
Ⅳ 요약 118
4장 외교정책 연구와 집단 수준 요인 121
Ⅰ 개요 123
Ⅱ 외교정책의 최종 결정 단위(Final Decision Unit) 124
1. 지배적인 리더(Predominant Leader) 125
2. 단일 집단(Single Group) 131
3. 복수의 자치 그룹(Multiple Autonomous Groups) 133
4. 관료조직(Bureaucracy) 137
5. 집단사고(Groupthink) 140
Ⅲ 앨리슨(Graham Allison)의 결정의 본질(Essence of Decision) 143
1. 조직 행동(조직 과정) 모델 144
2. 정부(관료)정치 모델 145
Ⅳ 요약 147
5장 국가 유형과 외교정책 149
Ⅰ 개요 151
Ⅱ 국가 유형과 외교정책 152
1. 외교와 국가의 힘 153
2. 강대국(미국)의 외교정책 154
3. 중견국의 외교정책 159
4. 약소국의 외교정책 161
Ⅲ 요약 165
6장 국내 요인과 외교정책 연구 167
Ⅰ 개요 169
Ⅱ 국내 요인과 외교정책 170
1. 정당(Political Parties)과 외교정책 172
2. 여론과 외교정책 173
3. 매스 미디어와 외교정책 179
4. 이익단체와 외교정책 188
5. 싱크탱크와 외교정책 190
6. 비정부기구(NGO)와 외교정책 192
Ⅲ 요약 194
7장 민주주의와 외교정책 연구 197
Ⅰ 개요 199
Ⅱ 외교정책 연구와 정부 형태 200
1. 대통령제와 내각제 200
2. 민주평화론 203
3. 도일(Michael Doyle)의 민주평화론 205
Ⅲ 민주평화론에 대한 제도적 해석과 규범적 해석 207
1. 민주평화론의 제도적 해석 207
2. 민주평화론의 규범적 해석 209
3. 민주평화론에 대한 비판 210
Ⅳ 문화와 외교정책 213
Ⅴ 요약 216
8장 외교정책 연구와 체제 수준 요인 219
Ⅰ 개요 221
Ⅱ 현실주의와 외교정책 연구 222
1. 모겐소와 고전 현실주의 224
2. 신현실주의와 외교정책 연구 225
3. 방어 현실주의(Defensive Realism)와 외교정책 연구 227
4. 공격 현실주의(Offensive Realism)와 외교정책 연구 229
5. 신고전 현실주의(Neoclassical Realism)와 외교정책 연구 232
Ⅲ 자유주의와 외교정책 연구 235
1. 복합 상호의존론(Complex Interdependence) 236
2. 신자유주의와 제도주의적 자유주의 239
3. 모라브칙(Andrew Moravcsik)의 ‘자유주의 정부간주의’ 242
Ⅳ 구성주의와 외교정책 연구 244
Ⅴ 요약 249
9장 외교정책 연구의 미래 251
미주 264
색인 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