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탄소중립 시대, 과학기술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5
1장 탄소중립 시대의 철강 제조 기술
1.1. 철강 산업의 온실가스 감축 기술 24
1.2. 국내외 철강 산업의 기술 및 시장 동향 50
1.3. 철강 산업 대전환을 위한 정부와 대학의 역할 56
2장 시멘트 산업 탄소중립 기술과 광물탄산화를 통한 탄소 감축 기술
2.1. 시멘트 산업 개요 64
2.2. 국내외 시멘트 산업 기술 및 시장 동향 80
2.3. 시멘트 산업을 위한 정부와 대학의 역할 85
3장 탄소중립을 위한 수소 기술: 수전해와 연료전지 기술
3.1. 수소 기술의 원리 94
3.2. 국내외 수소 기술 및 시장 동향 103
3.3. 수소 기술 개발을 위한 정부와 대학의 역할 110
4장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수소 경제
4.1. 수소 시스템의 개요 121
4.2. 국내외 수소 시스템 시장 현황 134
4.3. 수소 시스템 발전을 위한 정부와 대학의 역할 144
5장 열 에너지 탈탄소화를 위한 핵심 기술, 히트 펌프
5.1. 히트 펌프 기술의 원리 152
5.2. 국내외 히트 펌프 기술 및 시장 동향 163
5.3. 히트 펌프 기술 선도를 위한 정부와 대학의 역할 172
6장 탄소중립 건물 통합 설계
6.1. 건물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기술 182
6.2. 국내외 건물 부문의 기술 및 시장 동향 191
6.3. 건물 부문의 탄소중립을 위한 정부와 대학의 역할 196
7장 탄소중립 시대의 핵심 인프라: 전력 계통 혁신
7.1. 전력 시스템의 개요 204
7.2. 전력 시스템의 국내외 시장 현황 및 전망 220
7.3. 전력 시스템 발전을 위한 정부와 대학의 역할 224
8장 탄소중립 사회로 가는 징검다리: 탄소 포집·저장 기술
8.1. CCS 기술의 원리 233
8.2. 국내외 CCS 기술 및 시장 동향 245
8.3. CCS 기술 선도를 위한 정부와 대학의 역할 252
9장 탄소중립을 위한 탄소 전환 기술
9.1. 탄소 전환 기술에 대한 개요 260
9.2. 탄소 전환 기술의 국내외 시장 상황 및 전망 276
9.3. 탄소 전환을 위한 정부와 대학의 역할 278
10장 이차전지 산업 고찰: 기술, 제도, 교육
10.1. 배터리 기술의 원리 286
10.2. 국내외 배터리 기술 및 시장 동향 298
10.3. 배터리 기술의 발전을 위한 정부와 대학의 역할 303
11장 위기는 기회, 기후 테크 산업으로 국가 경쟁력 제고
11.1. 기후 테크 기술 311
11.2. 국내외 기후 테크 기술 및 시장 동향 323
11.3. 기후 테크 활성화를 위한 정부와 대학의 역할 332
에필로그 | 탄소중립, 분야별로 어떤 전략을 취해야 하는가 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