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지속가능 도시
제1장 도시 인구구조와 공간변화이론
제1절 도시를 이해하는 이론적 지도
제2절 인구구조변화이론
제3절 도시축소이론
제4절 도시공간구조이론
제5절 도시경제성장이론
제6절 사회적 자본
제2장 도시의 위기, 지역소멸
제1절 지역소멸이론
제2절 우리나라의 지방소멸
제3절 해외사례
제3장 도시의 미래, 친환경 도시
제1절 미래 도시로의 전환과 친환경 도시의 필요성
제2절 친환경 도시의 개념과 유형
제3절 친환경 도시의 원칙과 설계 전략
제4절 세계 친환경 도시의 주요 유형별 사례 분석
제5절 친환경 도시 구현을 위한 정책, 기술, 인프라
제6절 미래 도시와 친환경 도시의 전망
제7절 한국형 친환경 도시 전략과 향후 과제
제4장 도시의 진화, AI시티
제1절 AI시티 개념 및 등장배경
제2절 AI시티 주요 기능
제3절 AI시티 기대효과
제4절 AI시티 적용사례
제5절 AI시티 미래와 과제
제5장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주택
제1절 지속가능한 도시와 주택
제2절 도시의 지속가능성 측면에서의 주택문제
제3절 지속가능한 도시와 주택정책의 현황
제4절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주택정책의 미래
제2부 지속가능 도시, 포항 사례
제6장 포항의 어제와 오늘, 성찰과 전망
제1절 포항시장의 정책 어젠다 변화
제2절 시정백서 ‘시정운영방향’으로 본 정책 어젠다 변화
제3절 주요 정책 사례
제4절 주요 지표로 살펴본 10년의 성과 및 향후 과제
제7장 미국 도시 사례로 본 포항의 발전 전략: 피츠버그 모델과 디트로이트 모델
제1절 서론
제2절 포항의 실태 분석
제3절 미국의 사례 분석
제4절 두 도시의 정책 비교 및 시사점
제5절 정책적 제언
제8장 창조적 도시, 포항의 전략
제1절 서론: 왜 지금 ‘창조적 도시 포항’인가?
제2절 창조도시이론의 진화와 포항의 가능성
제3절 철강도시의 문화화: 포스코를 넘어 스틸 라이프스타일로
제4절 과학도시의 감성화: 연구하는 도시에서 사는 도시로
제5절 다섯 개의 포항: 분절된 정체성과 창조적 연결
제6절 크리에이터 타운 전략: 포항형 창조도시의 구현 방식
제7절 노마드 시티로 가는 길: 메가시티 시대의 새로운 도시 모델
제8절 창조도시 포항을 위한 실행 전략: 건축디자인과 로컬 메이커스페이스
제9절 결론: 포항은 창조도시가 될 수 있는가?
제9장 포항의 신성장 전략
제1절 포항의 현황
제2절 포항의 강점
제3절 포항의 취약점
제4절 포항의 신성장 전략 및 경쟁력 강화 방안
제5절 결론 및 제언
제10장 지곡지구! 포항 미래전략의 시작, 정체된 땅에서 미래를 짓는 도시 재설계
제1절 왜 지곡지구인가?
제2절 지곡지구 개발의 전략
제3절 지곡지구, 삶의 품격을 드러내는 공간
제4절 지곡지구 재개발 기대효과
제5절 미래 주거 패러다임으로서의 지곡지구
제6절 새로운 개발 질서와 통합 마스터플랜: 버티컬 가든시티의 방향성과 행정의 역할
제3부 지속가능 도시와 공공기관
제11장 폐광의 아픔을 간직한 정선, 강원랜드! 글로벌 관광도시로 꽃피우다
제1절 폐광지역의 특성
제2절 강원랜드의 설립 및 성과
제3절 강원랜드 향후 운영방향 및 제언
제12장 사람과 기업을 부르는 힘, 지역 인프라 혁신: 한국교통안전공단
제1절 고령사회와 산업기반 약화에 따른 지역소멸 위기
제2절 한국교통안전공단의 지역발전 전략
제3절 자동차·모빌리티 인프라 건립 주요 사례 및 성과
제4절 지역 일자리 창출과 사회공헌활동
제5절 맺음말
제13장 경주시 중저준위 방폐장 유치지역 발전성과 사례
제1절 중저준위 방폐장 유치지역 지원사업 현황
제2절 경제적 영향
제3절 사회적 영향
제4절 종합 평가 및 시사점
제14장 한국남동발전(주), 상생의 에너지로 지역소멸 위기를 기회로
제1절 서론
제2절 한국남동발전(주) 개요 및 사회공헌 추진체계
제3절 한국남동발전(주) 사회공헌 사업현황
제4절 지자체·지역주민·대국민과의 소통 강화
제5절 사회공헌 성과 점검·환류
제6절 지역발전 성과 및 향후계획
제15장 전통과 역사가 숨 쉬는 전북의 미래를 여는 국민연금공단의 지속가능한 동행
제1절 전북특별자치도의 숙원사업과 위기 현황
제2절 국민연금공단의 전북 국제금융허브 발전 지원 사례
제3절 국민연금공단 사회공헌 특화브랜드 ‘마을자치연금’ 추진 사례
제4절 지역발전 성과 및 향후 계획
제16장 영산강이 흐르는 천년도시, 나주를 지키는 한전KPS
제1절 나주시의 지역발전 현안
제2절 지역발전을 위한 한전KPS의 노력과 성과
제3절 한전KPS의 지역발전 성과
제17장 젊은 혁신도시 충북 진천·음성과 한국가스안전공사의 상생발전
제1절 대한민국 중심 충북, 충북의 중심 진천·음성의 지역 현안
제2절 한국가스안전공사와 손잡고 친환경 수소 도시로의 도약
제3절 에너지 산업 중심 지역 우수 인재 육성 및 적극 채용
제4절 여러 계층을 아우르는 감동이 있는 사회적 약자 복지 실현
제5절 지역 맞춤형 경제 활성화로 지역 결속력과 경쟁력 강화
제6절 지역주민 삶의 질을 향상하는 고품격 문화 콘텐츠 제공
제7절 공사와 지역이 함께하는 지역발전과 향후 과제
제18장 사람과 지역이 함께 자라는 길, 태안과 한국서부발전(주)의 상생 이야기
제1절 태안군 지역소멸 위기 현황
제2절 한국서부발전(주)의 사회공헌 전략 개요
제3절 한국서부발전(주)의 사회공헌 추진 사례 및 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