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머리말 / 3
Chapter 01 사회복지실천의 개관
제1절 사회복지실천의 정의와 목적 / 15
제2절 사회복지실천의 이념과 철학 / 23
Chapter 02 사회복지의 발달
제1절 영국 / 31
제2절 미국 / 42
제3절 한국 / 51
Chapter 03 사회복지전문직의 역할과 정체성
제1절 전문직업에 대한 이해 / 69
제2절 사회복지실천의 정체성과 전문적 기반 / 79
Chapter 04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및 윤리
제1절 사회복지전문직의 가치와 윤리강령 / 99
제2절 사회복지실천현장의 가치갈등과 해결책 / 112
Chapter 05 사회복지실천현장에 대한 이해
제1절 사회복지실천의 장 / 121
제2절 사회복지사의 역할 / 135
Chapter 06 사회복지실천의 관점
제1절 환경 속 인간 초점 / 144
제2절 일반체계관점 / 147
제3절 생태체계관점 / 152
제4절 강점관점 / 160
제5절 다문화관점 / 166
Chapter 07 사회복지실천의 통합방법론
제1절 통합방법론의 등장 배경 / 181
제2절 통합방법론의 개념 / 184
제3절 통합방법론의 특징 / 187
제4절 통합방법론의 모델 / 189
제5절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통합적 방법론의 의의 / 197
Chapter 08 사례관리
제1절 사례관리의 개념과 이해 / 201
제2절 사례관리의 실천 과정 / 212
제3절 사회복지실천현장의 사례관리 / 216
Chapter 09 사회복지실천관계론
제1절 원조관계의 정의와 특성 / 225
제2절 원조관계의 기반 및 기본 요소 / 227
제3절 원조관계의 원칙 / 231
제4절 원조관계의 발전과 원조관계 확립의 장애 / 238
제5절 변화를 방해하는 관계 다루기 / 242
Chapter 10 사회복지실천 면접론
제1절 면접의 목적 / 250
제2절 면접의 종류 / 251
제3절 면접기술 기초 / 255
Chapter 11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 접수
제1절 실천과정의 개념 / 281
제2절 실천과정의 구성 / 282
제3절 사례발굴 및 접수 / 284
Chapter 12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 자료수집과 사정
제1절 자료수집 / 297
제2절 사정 목적 / 300
제3절 사정 도구 / 303
제4절 통합적 사정 / 312
Chapter 13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 계획과 개입
제1절 목표설정 / 331
제2절 통합적 계획수립과 계약 / 335
제3절 통합적 개입 / 341
Chapter 14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 평가 및 종결
제1절 평가 / 375
제2절 종결 / 386
■ 참고문헌 / 394
■ 찾아보기 / 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