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 텍스트에서 콘텍스트로, 다시 텍스트로
1장 | 하나님의 천지창조에서 복음을 읽다
ㆍ갈라놓음과 경계 지음
ㆍ무질서를 바로잡는 선하신 하나님
ㆍ창조 이야기에 담긴 사랑의 하나님
ㆍ하나님의 이야기는 왜 네겐트로피인가?
2장 하나님의 일하심에서 기쁨을 읽다
ㆍ인간이 하나님을 개념화할 수 없는 이유
ㆍ이름에 갇히지 않으시는 하나님
ㆍ한 하나님에 대한 두 공동체의 고백
ㆍ인간에게 주어진 노동과 쉼의 권리
ㆍ하나님이 일하셨으니 우리도 일한다
3장 하나님의 인간 창조에서 사랑을 읽다
ㆍ인간이 유토피아를 희망하는 이유
ㆍ마음의 고향, 우리들의 천국
ㆍ복낙원을 설명하는 실낙원
ㆍ생명의 근원은 창조주 하나님
ㆍ창조 이야기의 탈신화화
ㆍ하나님의 인간학
4장 선악을 하나로 두신 뜻에서 생명을 읽다
ㆍ선과 악은 한 몸이다?
ㆍ인간을 보호해 주는 아름다운 나무
ㆍ수치심이 말을 걸어 올 때
ㆍ경계가 모호하다는 것이 위험한 이유
ㆍ죄와 악의 기원
ㆍ성서의 금기가 복음인 이유
ㆍ생명에는 등급을 매길 수 없다
ㆍ선악을 나누지 않는 곳엔 미(美)뿐이다
ㆍ타자의 욕망을 욕망하는 일
ㆍ선악을 나누지 말라
5장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에서 긍휼을 읽다
ㆍ내가 만든 하나님의 이미지
ㆍ생명나무를 함께 두신 이유
ㆍ죽음과 고통이 뱀 때문이라고?
ㆍ이정표 있는 길에서 길을 잃다
ㆍ선악의 구분이 죄가 되는 이유
ㆍ우울적 자리와 은혜의 자리
ㆍ전체 대상으로 보게 하는 나무
ㆍ하나님과 같아지려는 마음
ㆍ엄마의 품을 떠난다는 것
ㆍ기독교에서 답을 찾지 못한 이들에게
6장 가인의 마음에서 아픔을 읽다
ㆍ인류 최초의 살인 사건
ㆍ구조주의로 보는 가인의 살인
ㆍ보수적 형, 급진적 동생
ㆍ내가 동생을 돌보는 자입니까?
ㆍ아담과 하와 가족의 심리적 역동
ㆍ가인의 마음속 미해결 감정
ㆍ가인의 아픔을 받아줄 수 있었다면
ㆍ편집-분열적 자리에 놓인 가인
ㆍ가인의 자기중심적 편향 오류
7장 홍수 이야기에서 희망을 읽다
ㆍ사람이 죄를 지었는데, 왜 짐승이 죽어야 해?
ㆍ성서는 왜 노아 후손들의 근친혼을 다루지 않는가?
ㆍ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홍수 이야기
ㆍ좌절한 인간에게 주시는 하나님의 희망
8장 바벨탑 이야기에서 내일을 읽다
ㆍ바벨탑 이야기에 담긴 하나님의 성품
ㆍ자신들의 언어를 갖는다는 것
ㆍ자기 언어로 말하게 하시는 하나님
ㆍ흩어짐의 복음
에필로그 | 하나님의 창조는 네겐트로피의 증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