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문 8
Ⅱ 서구의 동기부여 개념 12
1. 그리스시대 13
가. 그리스인들의 국방 관련 동기부여 요인 14
2. 로마시대 18
가. 개요 18
나.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기독교 공인 19
다. 십자군 전쟁(세계사 최초의 국제의용군 참전 사례) 21
라. 칼뱅의 직업 召命(Mission)의식 등 서유럽 개신교 내 동기부여 구조 40
마. 근대 유럽 계몽주의 50
Ⅲ 유교·한자문화권 동기부여 개념 64
1. 공자의 윤리개념 64
2. 양명학상의 동기부여 등 관련개념 고찰 65
3. 중국 등 유교·한자문화권 중심의 역사적 사례·검토 66
가. 진나라의 고대중국 통일 66
나. 군사들에 대한 동기부여 관점에서의 군주의 위상 69
다. 중국 삼국지 기록들로부터 얻게되는 동기부여 관점 상의 시사점 73
4. 일본의 동기부여 구조 81
가. 일본의 신도(神道) 81
나. 불교의 영향 82
다. 신불습합(神佛習合)과 메이지 시대의 신-불(神-佛) 분리정책 85
라. 직인정신 88
Ⅳ 근현대 세계사 내 동기부여 사례 92
1. 히틀러의 제3제국 92
가. 히틀러 대두 배경 92
2. 상황 1 - 2차 세계대전 초기 독일군과 일본군의 진격 및 패퇴양상 97
가. 독일군 97
나. 일본군 98
다. 2차 세계대전 개전초 추축국의 승전과 이후 패퇴결과에 대한 원인분석 99
라. 상황 2 - 2차 세계대전 당시 연합군의 추축군 격퇴 100
마. 2차 세계대전에 대한 반성과 미래 전자적 직접민주주의 시행 필요성 등 107
Ⅴ 우리나라의 동기부여 개념 114
1. 한국인들의 동기부여 요인 및 기제 분석
1 - 지질학적 특징 114
2 - 종교 116
가. 불교 116
나. 유교 117
다. 기독교 120
2. 구한말 이래의 민족적 고난과 이를 극복하고자 시작된 집단적 동기부여 양상 및 관성 121
Ⅵ 인간에 대한 유전자 차원에서의 동기부여 요인 및 기제 124
Ⅶ 동기부여 요인·기제 종합 128
1. 개요 128
2. 전쟁을 수행하거나 준비하는 군인들에 대한 다양한 동기부여 요인들 131
가. 영토수호 내지는 영토확장(점령)을 위한 시원적ㆍ내재적 동기부여 요소 131
나. 금전적 보상 131
다. 명예와 관련된 보상 138
라. 자발적 동기부여자들의 이상실현 충족감으로서의 보상 141
3. 공존지향 동기부여 개념 143
가. 유교ㆍ한자문화권 공존지향성 144
나. 유럽의 공존지향성 개념들 145
다. 지속가능 발전 개념 154
라. 진화론 개선 필요성 155
마. 공존지향 동기부여 조건 156
Ⅷ 결론 166
1. 공존지향 동기부여의 필요성 166
2. 공존지향 동기부여 기제 170
가. 「지구시민주의 의식 교육」 170
나. 「실질적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초국가적 세계통괄기구 구성」 171
다. 「실행을 위한 실무역량 제고」 172
라. 「공존지향 리더십」 174
[미주] 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