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제1장 ‘노력하면 지원한다’라는 압박
‘하면 된다’라는 속박|‘노력하면 도와준다’는 말의 이면|노력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세태|노력하지 못하면 어떻게 되는가|무심코 한 말이 의욕을 빼앗는다|나도 노력하고 싶다|지원하기 싫은 사람이야말로 지원해야 한다|지원자도 지원해야 한다
제2장 노력하지 않아도 되는가
노력한다는 말의 의미|노력해 온 사람에게 건네는 위로|아직 충분히 노력하지 않았다면|“이대로 괜찮아”는 정말 괜찮은가|아이는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착각이 장애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중등도 지적 장애 소년의 극적인 향상|무리하지 않는 것과 노력하지 않는 것은 다르다|일을 쉽게 그만두는 세태
제3장 노력하지 못하는 사람들
평가받지 못하면 ‘해냈다’고 할 수 없다|돈이 되지 않는 일|힘든 삶의 악순환|‘노력해도 안 되는 아이’가 있다|스포츠도 마찬가지|약한 인지 기능|예측력 부족|범죄와의 관련성|현실적인 목표를 세우기 어렵다|매슬로의 욕구 5단계설|나도 그들처럼 되고 싶다
제4장 의욕을 꺾는 응원
의욕을 꺾는 어른|역효과를 낳는 격려|’공부 좀 해라’라는 말이 효과 없는 이유|“그런데~”|소년원생 보호자들의 공통된 경험|“좀 더 잘할 수 있어”|“그러니까 내 말을 들었어야지”|“너는 왜 맨날~”|공부를 좋아하면 공부를 잘할 거라는 착각|보호자가 선생님 험담을 하면|사후 지원이 없는 가짜 지도|부적절한 칭찬|흉기가 되는 말 “부모의 사랑이 부족한 것 아닌가?”|애정 없는 격려|자존감은 시들지 않는다
제5장 그래도 인정받고 싶다
‘실패할 거예요, 앞으로도.’|이런 나도 이해해 주었으면|방구석 외톨이여도 콘서트는 갈 수 있다|소년원생들의 세 가지 소원|이게 있으니까 노력할 수 있다|의욕 스위치를 어떻게 누르게 할 것인가|노력하고 싶지 않은 이유|의욕으로 이어지는 세 단계|누구나 행복해지고 싶다
제6장 어떻게 도와줄 것인가
지원자의 마음가짐|대하기 싫은 사람이야말로 지원이 필요하다|지원자의 세 가지 태도|행동의 배경을 생각하며 대하는 것|의욕을 끌어내는 세 가지 토대|안심의 토대|페이스메이커|도전할 수 있는 환경|상대의 불안을 알아차리기|일관된 지원의 중요성|성취감에는 타인의 승인이 필요하다|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미움받지 않는 것|함께 넘어지면서 앞으로 나아가기|말만 조심해도 점수를 딴다|음식으로 표현하는 따뜻한 환대|미소를 잊지 말자
제7장 보호자를 지원하자
우선 보호자를 지원하자|아이가 바뀌면 어른도 바뀐다|보호자의 방식을 억지로 바꾸지 않는다|특효약은 없지만…|사회로 이어주는 다리
제8장 ‘미소’와 ‘환대’
우울증으로 고통받는 교사와 의사|지원자 사이의 갈등|‘미소’와 ‘환대’|지원해야 할 상대는 가까이에 있다|못하는 나는 ‘예의 없는’ 사람
나오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