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도시를 이해하는 순간, 삶의 방향이 새롭게 그려진다 7
제1장
도시, 정체성을 묻다 11
“도시는 단순한 공간이 아니라, 사람들의 꿈과 기억이 쌓인 시간의 풍경이다.”
주얼리 시티를 꿈꾸다 12
강정희 | 미국 케롤라인대학교 철학과 교수
사랑받는 도시 vs 외면받는 도시 28
김선석 | 도시경제연구소장
사회개혁가들의 이상 도시 40
변병설 | 인하대학교 교수
민족과 부침을 같이한 도시, 마산 50
정경연 | 인하대학교 정책대학원 초빙교수
토지의 복합적 도시계획을 추구한 영국 리버풀의 전략 58
장기민 | 서울창업기업원 경영위원장, 경희대학교 외래교수
제2장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도시 디자인 65
“도시는 살아 움직이는 유기체, 지속가능성은 그 생명을 지켜주는 힘이다.”
소멸에서 생존으로, 지방을 살리는 생활인구의 방향 66
김남재 | 선강기업(주택건설업) 양촌농산원(농업경영체) 대표
춘천시의 지속가능한 축제를 위한 첫걸음 76
김태훈 | 한국환경공단
조급한 신재생에너지 정책이 경관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90
장윤승 | 씨엠공간디자인(주) 대표
쓰레기의 반란: 탄소중립 도시의 숨겨진 열쇠 98
정혜원 | 환경부 산하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녹색건축 인증제도의 통합적 정착 방안 연구 120
표순례 | 일송 조은 농원 대표
제3장
기술과 제도가 만나는 도시의 미래 129
“미래의 도시는 스마트함만으로 완성되지 않는다. 기술보다 사람이 먼저다.”
5차 산업혁명의 문턱에서 130
박석규 | 인천도시공사 팀장, 인하대학교 대학원 겸임교수
금융 산업의 ESG 경영과 기후변화 대응 144
윤영선 | IBK 기업은행 도당중앙지점장
Air rights and Pencil towers in New York 158
임성철 | 정우개발 대표 & 신아주종합건설(주) 건축부이사
도시 상공의 가치: 공중권 법제와 한국의 개발 전략 168
서재증 | 타임종합건축사사무소 대표 건축사
새로운 도시계획의 패러다임: 비욘드 조닝이란 무엇인가? 176
최윤희 | 가람자산관리대표 / 매일뉴스 논설위원
제4장
도시에서 길을 찾다: 장소성, 실험, 그리고 회복 189
“사람의 이야기가 도시를 만든다. 도시의 회복은 그 이야기를 다시 꺼내는 일이다.”
지역 활성화와 장소성 강화를 위한 도시 계획적 도구 활용 190
김승호 | 도시계획학박사, 건설 VE 전문가(CVP)
궁궐과 도시 빌딩 숲의 어메니티 조화 200
박순희 | 제나알앤디(주) 대표
공유수면 매립과 인천의 도시성장 212
박형균 | 인천도시공사 본부장, 인하대학교 겸임교수
세계의 롤 모델 지역공동체플랫폼, ‘서로 e음’의 성공 비결 228
변주영 | 인천광역시 경제특별보좌관(前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차장)
국가도시공원의 필요성과 해외 사례 236
신 담 | 엔에이치스마트시티개발(주) 개발부 이사
아파트 가격에 내재된 공원의 가치 242
왕인숙 | 머니우스 대표
인천의 해안가는 어디로 갔을까? 254
임정호 | 서울남부지방법원 집행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