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생각하고 느끼는 동물들》
독자 여러분에게
사회생활
재미와 놀이
재미있는 일은 왜 재미있을까요?
함께할 때 우리는 강해져요
대장이 항상 결정권을 갖지는 않아요
동맹과 네트워크
동물이 항상 사회생활을 하는 것은 아니에요
성격이 있는 동물들
성격
돌고래는 이름이 있어요
삶에 대한 기억
살이 찌면 기억력이 약해질 수 있어요
거미의 직업
자의식
거울 실험
거울을 못 알아봐요
친구이자 적이 되는 거울
거울을 도구로 사용해요
멀리 있는 거울에도 반응해요
이런, 이거 나잖아!
자의식과 자기 인식
로봇도 자의식을 가질 수 있을까요?
동물의 언어
소통이란 뭘까요?
거짓말의 발명
소리를 통해 배워요
사투리
가리키는 몸짓
동물의 언어와 문법
현장에서의 새로운 관찰
동물을 이해할 수 있을까요?
생각하기
심상
심상에서 범주로
논리적으로 생각하기
추상적으로 생각하기
전략적으로 생각하기
창의력
자기 성찰
자제심
수학
동물에게서 생각하는 법 배우기
느끼기
누가 주도권을 쥐고 있나요?
사랑
짝 선택
슬픔
공감은 최고의 능력
공감
거짓 믿음
우리는 왜 동시에 하품할까요?
폭력
자연에서 문화로
식문화
유행 따르기
새 둥지
도구 사용
애들레이드의 춤추는 돌고래
정의
공정
도덕
소유
작지만 큰 차이
부모님과 선생님께
용어 해설
《말하고 소통하는 동물들》
독자 여러분에게
동물을 이해할 수 있을까요?
보편적인 의사소통 신호가 있을까요?
언어의 출현
소통이란 무엇인가요?
꿀벌의 비밀 언어
제스처
비언어적 의사소통
소리를 통한 의사소통
노래
어휘
소리로 배우기
사투리
맥락으로 살펴보는 울음소리
세상을 바꾸는 제스처
거짓말쟁이의 목소리
언어 유전자 FOXP2
포획한 동물을 이용한 언어 연구
야생동물과 함께 생활하기
돌고래
영장류
앵무새
야생동물을 대상으로 한 언어 연구
새로운 연구
어휘
문법
대화
관용구
예의
네안데르탈인
언어가 먼저일까요, 생각이 먼저일까요?
동물은 어떻게 생각하고 느낄까요?
지구에서 처음 나타난 생각
생각의 세계
감정의 세계
생각에 대한 생각
집단 지성
동물을 의인화해도 될까요?
석기 시대부터 중세까지
중세부터 계몽주의 시대까지
브렘의 동물 생활
영리한 한스
행동주의
본능 이론
오늘날 동물에 대한 우리의 이미지
언어가 생각을 만들까요?
언어의 힘
동물과 대화하기
맥락 속에서 나타나는 트릭
자폐증에서 나온 묘안
더 많은 트릭
우리가 사랑하는 동물들
우리가 사랑하지 않는 동물들
야생동물
동물 훈련
우리는 언제 동물과 대화할 수 있을까요?
부모님과 선생님께
용어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