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의 글
머리말
제1장 ╻들어가며
1. 지구라는 행성에서 인간의 운명
2. 심판하시고 처벌하시고 보복하시는 하나님은 없다
제2장 ╻기독교 신앙의 근거
신이 이 세계를 창조했다고 할 때
1. 창조주로서의 신
2. 신의 전지전능에 대하여
3. 논리는 이 세계의 전제이다
4. 언어가 곧 세계이다
5. 하나님의 의미
제3장 ╻진화와 창조는 동일한 것이다
제4장 ╻창세기 1장의 올바른 이해
1. 창조의 본질
2. 창조의 법칙 - 번식력
3. 왜 하필 이 법칙인가?
4. 하나님은 진화를 창조했는가?
제5장 ╻창세기 1장은 지구 생태계 먹이사슬이다
1. 창세기 1장
2. 하나의 제안
3. 먹이사슬이 먹이사슬인 이유
4. 신의 과학 - 제럴드 슈뢰더
5. 진화란 무엇인가 - 에른스트 마이어
6. 최초의 7일 - 존 C 레녹스
7. 창조/진화는 먹이사슬의 완성이다
8. 창조/진화의 과정에서 인간 존재의 필연성
9. 스티븐 호킹의 ‘희망’에 반대하여
10. 창조와 진화는 왜 동일한 것인가?
11. 우주의 미세조정에 대하여
제6장 ╻기독교는 창세기를 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가?
대상화의 문제
제7장 ╻창조의 원리와 성(性)
1. 창조의 법칙으로서의 성性/음과 양
2. 인간의 성과 다른 피조물의 성은 어떻게 다른가?
3. 피조물은 모두 알몸이다 - 타락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4. 물리계에서의 성性
제8장 ╻논리로 읽는 창세기 1장
I. 창세기 1장의 논리적 독해
1. 카오스
2. 빅뱅
3. 어둠과 빛의 분리
4. 대륙의 봉기와 갈라짐
5. 미생물의 창조
6. 식물의 창조
7. 식물의 광합성
8. 초식동물의 창조
9. 육식동물의 창조
10. 잡식동물 인간 창조
11. 인간의 먹을 것을 채식으로 규정
II. 창세기 1장에 대한 보론
보론 1. 카오스 빅뱅 에로스
보론 2. 자기지시/자기언급의 문제
보론 3. 창조의 본질
보론 4. 인간의 먹을 것에 대한 채식 규정
보론 5. 창조의 여섯 날
보론 6. 먹이사슬은 무엇인가?
보론 7. 먹이사슬을 통하여 보는 창조의 본질
보론 8. 지구 생태계 마지막 포식자로서의 인간
제9장 ╻논리로 읽는 창세기 2장
I. 창세기 2장의 논리적 독해
인간과 인간의 노동
II. 창세기 2장에 대한 보론
보론 1. 두 개의 창조 기사?
보론 2. 하나님에서 2장의 여호와 하나님으로 변화
보론 3. 에덴동산의 의미
제10장 ╻논리로 읽는 창세기 3장
I. 창세기 3장의 논리적 독해
1. 진화하는 인간
2. 창세기 3장 본문 읽기
II. 창세기 3장에 대한 보론
보론 1. 창세기의 집합론
보론 2. 인간은 반드시 죽는다
보론 3. 인간의 자의식이란 무엇인가?
보론 4. 인간 언어의 본질
보론 5. 노동이 창조한 인간
보론 6. 노동형에 처한 인간
제11장 ╻논리로 읽는 창세기 4장
창세기 4장의 논리적 독해
문명과 자연의 대립
제12장 ╻하나님 형상의 인간
1. 창세기 1장과 2장
2. 인식과 창조
3. 형상과 모양
4. 노동과 인식
제13장╻창조론과 진화론의 만남
제14장╻창조/진화의 과정에서 인간 존재의 필연성
1. 창조/진화의 과정에서 인간 존재의 필연성 1
2. 창조/진화의 과정에서 인간 존재의 필연성 2
3. 화이트헤드의 유신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