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시작하기 전에
이 책을 활용하는 법
1장 한눈에 살펴보는 경제지표의 기본 구조
01 금리
02 물가
03 환율
04 경기
05 고용
06 안전자산과 위험자산
07 원자재
2장 투자하기 전에 꼭 알아야 할 7가지 경제지표 마스터하기
01 금리: 경제의 온도 조절 장치
돈에도 가격이 있다?
다양한 금리의 종류
경제의 열쇠, 금리
금리 인상기와 인하기의 투자 전략
[치과아저씨의 경제지표 특강]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세계 경제 정책의 흐름: 양적 완화와 제로 금리 , 그리고 양적 긴축과 금리 인상까지
02 물가: 왜 계속 오르기만 할까?
물가는 원래 오르게 되어 있다?
물가를 잡는 키워드: 명목 금리와 실질 금리에 대한 이해
물가에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요소들
한없이 물가가 오를 수 있을까: 자산의 버블 발생 및 붕괴 사이클
[치과아저씨의 경제지표 특강] 역사상 가장 유명한 버블, 튤립 이야기: 17세기 네덜란드에서 벌어진 광기의 기록
03 환율: 통화의 상대가치를 이해하면 투자가 강해진다
환율: 1000원과 1000달러의 가치는 당연히 다르다
지금 달러가 싼 것인지, 비싼 것인지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달러 인덱스와 원/달러 환율을 조합하여 최선의 투자 전략 찾아내기
[치과아저씨의 경제지표 특강] 화폐의 역사는 신뢰의 역사였다: 금본위제와 브레튼우즈 체제 , 그리고 닉슨 쇼크
04 경기: 좋을 때와 나쁠 때의 투자 방향은 달라야 한다
투자자들의 필수 덕목, 경기에 맞추어 행동하라
경기의 순환을 이해하면 시장의 계절을 지배할 수 있다
통화량과 경기: 같은 통화량 증가가 금리를 다르게 움직이는 이유
호황기와 불황기의 투자 원칙
[치과아저씨의 경제지표 특강] 일본의 저금리 현상: 30년 장기 침체의 그림자
05 고용: 낮은 실업률의 딜레마
완전고용: 과연 최선의 상태일까?
완전고용의 역설: 단기 필립스 곡선의 개념과 한계
수정된 필립스 곡선과 경제정책의 방향성
듀얼 맨데이트의 이해와 고용지표를 활용한 투자 전략
[치과아저씨의 경제지표 특강] 정책이 무력했던 시대 , 1970년대 오일쇼크와 스태그플레이션
06 안전자산과 위험자산: 안전하다는 착각과 위험하다는 편견
안전자과 위험자산, 어떻게 나눌까? ‘안전자산’이라는 이름의 환상
위험자산이 숨기고 있는 기회
진짜 안전한 포트폴리오란?
[치과아저씨의 경제지표 특강] 사례로 보는 금 가격 변동과 경제의 관계
07 원자재: 거시경제의 선행자
투자에서도 빼놓을 수 없는 원자재
원유: 현대 경제를 움직이는 산업의 혈액
금: 천상천하 유아독존, 안전자산의 최고봉
구리: 제조업 경기의 체온계
희토류: 미-중 기술 패권의 무기
밀: 정치·기후에 민감한 생존 자원
[치과아저씨의 경제지표 특강] 원유 가격 변동과 경제 관계의 주요 사례들
3장 경제 일정을 따라 정리하는 다양한 경제지표들
01 주간 단위 지표: 시장을 빠르게 읽는 실전 투자자들의 무기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고용)
원유재고(경기)
02 월간 단위 지표: 흐름을 읽고 추세를 잡는 경제의 맥박
소비자물가지수(물가)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물가)
생산자물가지수(물가)
근원 생산자물가지수(물가)
개인소비지출물가지수(물가)
근원 개인소비지출물가지수(물가)
고용보고서(고용)
노동부 JOLTs(고용)
ADP 비농업 부문 고용 변화 (고용)
FOMC 회의(정책)
FOMC 의사록(정책)
03 분기 단위 지표: 거시경제와 실물경제의 연결 고리
GDP(경기)
FOMC 점도표
04 꼭 알아두어야 하는 경제지표들의 특징 Good is Good vs. Bad is Good
CPI와 PCE의 차이
PPI가 CPI를 선행하는 이유
물가 구성 요소별 세부 지표 확인하는 법
물가지표 변화를 확률 높게 예측하는 법
고용지표 간의 관계
FOMC 성명서, 의장 질의응답, 의사록 확인하는 법
점도표 해석법
4장 모식도를 통해 익히는 실전 투자 감각
[모식도 1] 시장이 ‘현재 금리가 높다’고 판단하는 상황
시장의 판단: “지금 금리는 너무 높다”
그러나 연준은 금리를 인하하지 않는다. 아니, 인하하지 못한다
물가지표가 낮게 나와주었을 때
물가지표가 예상보다 높게 발표되었을 때
[모식도 2] 시장이 ‘현재 금리가 낮다’고 판단하는 상황
시장의 판단: “지금 금리는 너무 낮다”
그러나 연준은 금리를 인상하지 않는다. 아니, 인상하지 못한다
경기 및 고용 지표가 낮게 발표되었을 때
경기 및 고용 지표가 높게 발표되었을 때
[모식도 3] 한국을 포함한 이머징 마켓의 증시
환율의 움직임과 외국인 자금 흐름의 관계
금리차의 변화와 외국인 자금 흐름의 관계
부록 | 실전 투자에 도움이 되는 경제지표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