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04 한반도 근해 포경(선사시대~해방전)주요 연표
005 한반도 근해 포경(1945~1985)주요 연표
006 머리말
제1장 한반도 고래의 역사
014 선사시대 고래잡이 모습을 담은 반구대 암각화
017 삼국시대, 기록으로 본 고래
020 고려시대 문헌에 나타난 고래와 그 의미
023 조선시대의 고래와 기록
028 근대포경 시작, 1840년대부터 일제강점기 이전 한반도 포경
033 일제강점기 시절의 한반도 포경
039 해방 후 한반도 포경업-1.장생포
049 해방 후 한반도 포경업-2.방어진
055 해방 후 한반도 포경업-3.포항과 구룡포
060 해방 후 한반도 포경업-4.흑산도와 대청도
066 로이체프먼 앤드류스와 귀신고래
제2장 포경선의 조업방법과 고래 잔혹사
078 엔진과 포경 작살포 이야기
087 포경선의 조업 방법 및 실태
091 근해에서 조업했던 포경선 이름을 찾아서
098 고래 종류와 특성
107 고래 잔혹사
제3장 고래 쫓던 포경선과 포획된 고래 해체작업
116 포경선의 출항과 입항
122 고래의 발견, 추격과 포획
131 만선 깃발 달고 입항하는 포경선
141 고래 해체장소와 해체용 도구
150 고래고기의 12가지 맛
155 해체된 고래고기 선원들에게 한몫씩 나누어주다
159 선술집과 골목길 그리고 시장통에서 만난 고래고기
제4장 포경선 선원 삶의 현장 이야기
168 포경선의 최고등급 포수를 스카우트하라
180 선장과 기관장의 이야기
188 갑판장과 3등 세라 선원
193 해부장과 화장의 삶 이야기
196 포경선의 고동소리
200 보상금을 청구하던 포경선원
제5장 상업 포경 금지 후 장생포 고래문화 특구
208 밧줄에 묶은 포경선과 IWC 총회
215 포경 금지 이후 울산 장생포 고래고기 집 이야기
222 장생포 고래박물관과 고래연구센터
227 고래바다 여행선과 고래생태 체험관
234 고래문화마을과 모노레일 관광객
241 장생포 고래축제와 고래문화재단
247 고래문화특구와 퇴역 울산함
252 끝맺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