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4
part 1 종교의 기억
김지영 | 헝가리의 이슬람 기억의 장소_페치(Pés)의 여코발리 허싼(Jakovái Hasszá), 가지 카심(Gazi
Kasim) 모스크를 중심으로
김희원 | 영국의 샤 자한(Shah Jahan) 모스크_영국에 새겨진 이슬람 문화의 기억
박 단 | 파리 대모스크_무슬림 병사 ‘추모 공간’에서 프랑스 국민 모두의 ‘화합 공간’으로
염운옥 | 히잡_불편한 기억의 터
박현도 | 초승달과 별로 읽는 유로메나
part 2 문화의 기억
민원정 | 엘 시드의 노래_기독교와 이슬람의 조우 속 저항의 기억
양정아 | 로제루 2세의 대관복_9세기 이후 시칠리아에 남은 아랍-이슬람 문화
이수정 | 알람브라 궁전이 전하는 과거와 현재의 기억
남종국 | 르네상스 시대 베네치아 예술_이슬람 세계를 보여주는 거울
윤덕희 | 세이버(sabre), 악마의 무기에서 근대화의 상징까지_유럽에 남긴 오스만의 군사적 유산
임동현 | 〈네 명의 무어인 상(像)〉_리보르노의 무슬림 노예들
김유정 | 파리 아랍 세계 연구소_프랑스와 아랍 세계를 연결하는 ‘문화의‘문화의 집’
part 3 사상·언어의 기억
홍용진 | 아베로에스와 중세 서유럽의 지적 대변동
최성철 | 이븐 할둔_주목받아야 할 생소한 기억
이진현 | 코페르니쿠스의 『회전』에 나타난 이슬람 천문학의 흔적
김형민 | 독일어 속 아랍어 차용어_‘문화 간 협력’의 결과물
이강국 | 스페인어 속의 아랍어
part 4 일상의 기억
김재희 | 플라멩코_아랍 부모에게서 태어난 스페인 춤
최선아 | 홀바인 카펫_유럽인의 일상 공간에 색을 더하다
이하얀 | 포막족의 결혼식_불가리아 내 이슬람 문화의 증언
윤용선 | 되너 케밥_‘기억의 장소’에서 독일의 국민 거리 음식으로
주 / 그림일람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