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드론과 시큐리티 제1절 시큐리티의 개념과 특성1. 시큐리티의 개념
2. 시큐리티의 특성
제2절 드론 시큐리티의 정의1. 드론 시큐리티의 연혁
2. 드론과 시큐리티의 관계
제3절 드론 시큐리티의 구성1. 드론을 활용한 시큐리티 강화
2. 드론 시큐리티 강화를 위한 정책 방안
3. 시큐리티를 위협하는 드론 범죄 사례
4. 드론테러 및 드론전쟁
제4절 공공기관의 드론 활용 및 안티드론1. 공공기관에서의 드론의 효과적인 활용방안
2. 안티드론의 새로운 접근 방향
제2장 드론의 이해 제1절 드론1. 드론의 개념 및 정의
2. 드론의 구조
3. 드론의 발달
4. 전쟁분쟁지역 주요드론
제2절 드론 관계법령1. 드론 법령 개요
2. 드론 안전관리 관련 법령
3. 드론 대응 및 무력화 법령
제3장 드론의 위협 유형 제1절 드론의 군사적 위협1. 전면전시 드론활용
2. 국지전 및 비정규정시 드론활용
3. 전쟁․분쟁 지역 주요드론
제2절 드론의 테러위협1. 테러의 개념
2. 테러발생 예측모델
3. 테러의 양상
4. 드론 테러의 개념 및 정의
제3절 드론의 범죄위협1. 개인적 법익침해 관련 범죄
2. 사회적 법익침해 관련 범죄
3. 군사상 법익침해 관련 범죄
4. 드론 운행 관련 기타 위법행위
제4절 드론 위협의 특징1. 저비용 ․ 고효율 위협
2. 하이브리드 인지전 관점의 공포 조성
3. 비노출 정밀공격
4. 군집드론에 의한 동시다발적 위협
5. 최신 ICT기술을 활용한 신종 위협
제4장 주요 지역별 드론 위협 양상 제1절 중동 지역1. 국제테러단체 위협
2. 주요국가별 위협
3. 대드론 활동
제2절 동남아시아 지역1. 주요 국가들의 드론 위협 양상
2. 대드론 활동
제3절 전세계 드론위협 양상
제5장 국가중요시설의 안티드론시스템 제1절 국가중요시설의 개념과 보호1. 국가중요시설의 개념
2. 국가중요시설의 보호
제2절 안티드론시스템의 의미1. 안티드론시스템의 개념
2. 안티드론시스템 구축 필요성
제3절 드론대응의 세부 개념1. 미국의 드론 대응 개념
2. 국내 드론 대응 개념
제4절 안티드론시스템 장비1. 레이더
2.R/F스캐너
3. EO/IR카메라
4. 재머
5. 통신스푸핑
6. GPS스푸핑
7. EMP
제6장 드론위협 발생 위험도 평가모델 제1절 드론위협 발생 위험도 평가모델 개요1. 드론테러 발생 위험도 평가모델의 필요성
2. 평가모델 방법론
제2절 분석결과 모델
제7장 국가중요시설 유형분류에 따른 안티드론시스템 제1절 국가중요시설 유형분류1. 국가중요시설 유형분류 필요성
2. 안티드론시스템 구성 방법
2. 유형분류 및 구축장비 예비항목
제2절 분석결과 모델1. 도시-노출형
2. 도시-비노출형
3. 비도시-노출형
4. 비도시-비노출형
5. 소결
제8장 평가모델 적용 안티드론시스템 구축 방법 제1절 안티드론시스템 실무적 구축 방법1. 시스템 구축 개요
2. 평가모델 적용 구축 방법
제2절 평가모델 적용 유형별 구축방법1. 도시-노출형 구축방법
2. 도시-비노출형 구축방법
3. 비도시-노출형 구축방법
4. 비도시-비노출형 구축방법
제3절 유형별 구축방안 분석
제9장 평가 모델과 구축 모델의 정책적 시사점 제1절 모델의 요약과 한계점1. 모델의 요약
2. 한계점
제2절 정책적 시사점1. 드론테러 발생 위험도 평가모델
2. 유형분류에 따른 안티드론시스템 구축모델
3. 평가모델 적용 안티드론시스템 구축방안
제10장 드론테러 대응역량 발전방안 제1절 법적·제도적 방안1. 드론 법령 개정방향
2. 드론등록 및 불법드론 처벌 강화
3. 국가 드론위협 합동 대응매뉴얼
4. 국가 드론테러 합동훈련
제2절 기술 개발․인적 역량 강화1. 범정부 차원 핵심기술 개발
2. 국가주도 드론방어 장비 개발
3. 안티드론시스템 연구기구의 설립
4. 안티드론시스템 관련 인재의 양성
제3절 국가 대드론 대응체계 보완 1. 드론 무력화 방안
2. 군경 등 관계기관 대응체계 보완
3. 드론탐지 및 대응기관 통합의 필요성
4. 드론위협 및 비행금지구역 대국민 홍보 강화
5. 민간기업 드론테러 대응체계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