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 시장인가, 국가인가? 케인즈인가, 슘페터인가?
- ‘인간에 의한 인간의 발전’ 사회연대경제와 시민/노동운동의 협업과 연대를 통해 이룰 수 있습니다.
서문
서론
1장 제도주의 연구는 시민사회의 독창성과 중요성을 보여준다
2장 사회연대경제는 사회의 과제에 대응하지만, 그 양상은 극단적으로 다양하다
3장 사회연대경제가 하나의 사회경제체제로 자리 잡는 데 겪는 어려움
4장 사회연대경제의 이론적 기반의 다양성과 절충주의: 강점인가 아니면 약점인가?
5장 협력에서 사회경제체제로: 자주관리 모델 재고찰
6장 사회적 시장경제의 부침浮沈: 하나의 이상을 향한 두 과정
7장 금융, 보건 및 환경 위기에 대한 사회연대경제의 대응
8장 21세기 사회경제체제에서 연대의 자리
결론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