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I. 서론: 공감의 관점에서 본 인간학적이고 생태학적인 위기
1. 무기력한 현대인의 “빈약한 삶”과 억압된 죽음
1) “팔꿈치 사회(무한경쟁 사회)” 속에서 심화되는 인간의 무감각화 및 비인간화
2) 현대의 위축된 삶과 다양한 차원의 악순환
2. 생태학적 위기의 원인으로서 지배 차원의 인식론
Ⅱ. 공감의 본질 및 타 학문들의 공감론
1. 공감의 개념과 본질
2. 최근 공감론의 철학적, 심리학적, 신학적 논의
Ⅲ. 공감론이 몰트만 신학에서 차지하는 위치
1. 몰트만의 개인적 체험들
2. 몰트만 신학에서 공감론의 자리: “하나님의 수난” 이론으로서 공감론
1) 십자가의 신적 고난에 대한 삼위일체론적이고 정치신학적인 차원
2) 화해론적이고 생태학적인 차원
3) 기도적이고 에큐메니칼적인 차원
4) 공감의 신론(Deus sympatheticus)적 차원: 십자가의 신학에 대한 신학사적인 입장과 몰트만 정치신학의 비판적 견해
Ⅳ. 십자가에 나타난 열정의 하나님과 “하나님의 형상 (imago Dei)”인 그리스도의 자유
1. 십자가 사건에서 계시되는 “정열의 하나님”
2. 십자가에 달린 “하나님의 형상”으로서 예수 그리스도의 자유
3. 인간 해방을 위한 심리학적이고 정치적인 십자가 해석학
Ⅴ. 무감정한 인간인가 아니면 공감의 인간인가?: 새 인간성을 위한 공감의 신학을 향해
1. “정열의 신학(헤셸)”을 통해 분명해지는 “하나님의 열정”과 인간의 공감
2. 새로운 삶의 특징으로서 공감을 향하는 그리스도인
Ⅵ. 사랑을 통해 비로소 체험되는 생명과 죽음 그리고 공감의 신앙 공동체
1. 사랑을 통해 분명해지는 죽음의 치명성과 생명의 생동성
2. “그리스도의 뒤를 따라(nachfolge)”: 공감의 공동체적이고 공적인 실천
Ⅶ. 결론
부록 1: 몰트만의 메시아적 창조론
I. 서론
II. 태초창조를 완성하는 구원의 새 창조
III. 구원의 빛에서 드러나는 하나님의 새 창조
1. 부활과 칭의에 나타나는 새 창조
2. “시작하는 새 생명(Incipit vita nova)”으로서 거듭남
IV. “모든 것 안에 모든 것의 주(主)”가 될 하나님과 창조의 목적
1. 자기 제한으로부터 해방으로서 하나님의 새 창조
2. 창조의 목적으로서 하나님의 안식
V. 결론
부록 2: 몰트만 정치신학의 핵심 개념으로서 저항 연구
I. 서론
Ⅱ. 몰트만 정치신학의 출발점과 기본 명제
1. 아우슈비츠(Auschwitz) 이후 제기된 사적이고 이원론적인 신앙 전통 극복: 출발점
2. “누구든지 저항권을 요구하는 자가 자유롭다”: 기본 명제
Ⅲ. 자유를 향한 구원 행위로서 저항의 다섯 가지 측면들
1. 압제에 저항하는 인간 존엄성을 위한 투쟁: 정치적 저항
1) 정치적 압제에 저항하는 인권
2) 권력 정당화를 거부하고 인간 존엄성을 추구하는 정치적 십자가 신학
2. 인간 착취에 저항하는 정의와 해방을 위한 투쟁: 경제적 저항
1) 불평등한 시장경제체제에 대한 저항과 경제적 연대
2) 정의를 위한 “제1세계”의 “제3세계” 착취에 대한 저항
3. 각종 차별에 저항하는 연대를 위한 투쟁: 사회적 저항
1) 성차별에 대한 저항과 이로 인한 해방
2) 성차별 저항의 근거로서 “하나님의 형상”의 사회성
4. 무기력한 삶에 저항하는 확신을 위한 투쟁: 문화적 저항
1) 무감각한 현실주의에 대항하는 “하나님 체험”과 “육체의 영성”
2) 절망적인 세계에 저항하는 거듭남(incipit vita nova)의 확신
5. 자연 파괴에 저항하는 해방의 생태학적 운동: 생태학적 저항
1) “생태학적 위기”의 대안책으로서 해방의 창조 윤리
2) 자연 파괴 극복을 위한 공동 정책으로서 하나님 중심주의
Ⅳ. 결론
부록 3: 생명의 영이신 하나님
- 몰트만의 성령론적 생명신학 연구 -
I. 서론: 개인적 소개
Ⅱ. 초월적인 생명의 원천(fons vitae)으로서 하나님의 영(Ruach YHWH)
Ⅲ. 피조물을 잃어버리지 않는 전능한 부활의 영
Ⅳ. 통전적인 구원의 원리로서 하나님의 영
V. 폐쇄적 제도가 아니라 카리스마적 공동체를 세우는 성령
Ⅵ.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