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며
⚫ 요약
Ⅰ. 들어가며 : ‘시간과 공간’에 대한 통찰의 가치와 이상세계
Ⅱ. 『법화경』의 시간과 수(數)의 상징체계
1. 『법화경』의 시간개념과 수(數)에 대한 인식
1) 시간개념과 수의 관계
2) 『법화경』 각 품에 나타난 겁(劫)과 수(數)
2. 『법화경』의 겁(劫)과 수(數)에 내재한 시간개념
1) 수명과 존재의 기간
2) 시간의 상징으로 표현된 수
3) 특정한 사건이 진행된 기간
Ⅲ. 『법화경』의 공간(空間)과 시방(十方)
1. 『법화경』의 공간·장소·방위에 대한 인식
1) 공간의 장소화를 통한 존재의 관계성
2)『법화경』의 ‘방위’ 개념과 공간분할의 의미
2. 『법화경』의 시방(十方)과 시방세계(十方世界)
1) 붓다의 편재(遍在)와 일불승(一佛乘)의 시방
2) 붓다의 광명(光明)과 육종진동(六種震動)의 시방
3) 중생의 이익과 수(數)의 많음을 상징하는 시방
4) 사방·사유·상하로 구분되어 묘사된 시방
Ⅳ. 『법화경』의 세계와 정토(淨土)
1. 『법화경』의 수기(授記)와 정토(淨土)
2. 『법화경』의 과거·미래불과 정토(淨土)
Ⅴ. 『법화경』의 정토(淨土)와 유토피아니즘
1. 신화적 관점에서 본 공간·장소·방위의 상징
2. 공간·장소·방위의 상징과 제불 정토
3. 『법화경』의 정토와 제불 정토, 유토피아와 이상세계
4. 『법화경』의 세계, 이상세계관과 유토피아니즘
Ⅵ. 마무리 : 『법화경』에서 수(數)의 상징체계로 본 ‘시공간표현수(時空間表現數)’와 정토 세계
⚫ 참고문헌
⚫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