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례
서문: 왜 지금 ISO 37301인가? 04
제1부 컴플라이언스의 이해와 규범준수 시스템의 진화
제1장. 컴플라이언스의 개념과 역사 10
1. 레이건의 규제 완화와 S&L 스캔들 10
2. 미국 양형지침과 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의 제도화 12
3. 컴플라이언스 vs 윤리: 개념의 진화 15
4. ESG, 책임경영과 컴플라이언스의 접점 18
제2장. 글로벌 컴플라이언스 기준의 흐름 22
1. FCPA, UK Bribery Act 핵심 비교 22
2. OECD · UN 가이드라인과 공급망 실사 기준 26
3. COSO 프레임워크의 시사점 31
제2부 ISO 37301 표준의 구조와 해설
제3장. ISO 37301 개요와 핵심 원칙 38
1. 표준의 목적과 적용 범위 38
2. HLS 구조 이해: ISO 표준 간 연계성 42
3. 규범준수 문화(Compliance Culture)의 중요성 47
제4장. ISO 37301 조항별 심층 해설 52
1. 조직의 상황과 리스크 기반 접근 52
2. 리더십과 거버넌스 56
3. 기획(리스크 대응과 목표 설정) 60
4. 운영(통제 절차, 실사, 교육, 문서 관리) 65
5. 성과 평가와 모니터링 70
6. 시정조치와 지속적 개선 74
제3부 CP등급평가 기준과의 연계
제5장.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CP)의 구조와 평가 기준 80
1. CP등급평가의 목적과 체계 80
2. 2024년 CP 세부측정지표 항목 해설 85
3. ISO 37301 요구 사항과의 정합성 비교 88
4. CP 심사 시 주요 증빙 자료와 평가 포인트 91
제4부 ISO 37301 인증심사 실무
제6장. 인증심사 절차와 심사원 역할 98
1. 인증제도의 구조 98
2. 심사 프로세스(계획 ~ 보고) 103
3. 심사원 윤리강령 및 이해 상충 108
4. 부적합 판정과 개선 조치 요구의 실제 113
제7장. 심사 체크리스트와 사례 기반 해설 119
1. 실제 심사 시 자주 나타나는 부적합 사례 119
2. 심사원 교육 평가 및 모의심사 시나리오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