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_공부부터 하고 사회성은 나중에 길러도 되지 않을까요?
+연령별 사회성 체크리스트
0~2세 영아기
3~5세 유아기
6~7세 취학 전 아동기
8~9세 초등 저학년
1장. 아이의 사회성은 어떻게 자라날까?
아이에게 부모는 처음 만나는 세상이다
사회성은 타고나는 걸까, 길러지는 걸까?
긍정 정서가 높은 아이, 부정 정서가 높은 아이
아이의 불편함을 줄여주지 말아야 하는 이유
놀이의 세계를 넓혀주는 것이 가장 좋은 교육이다
+놀이 문제 Case1. 혼자서만 놀려고 하는 아이
+놀이 문제 Case2. 지는 걸 못 견디는 아이
+놀이 문제 Case3. 전자기기만 보려고 하는 아이
전 세계는 왜 사회정서 교육에 주목하는가
2장. [기초편] 나를 잘 알고 지키기 위해 필요한 역량
자기 신뢰: 거절이나 실패에도 무너지지 않는 힘
자기 인식: “몰라” 대신 “슬퍼”라고 말하는 아이로 키워라
자기 표현: 소통은 자기감정을 꺼내는 연습에서 시작된다
자기 조절① 감정 조절: 감정은 스스로 다스릴 수 있는 ‘마음의 에너지’
자기 조절② 생각 조절: 포기하지 않고 더 나은 방법을 찾아내는 힘
자기 조절③ 행동 조절: 충동을 알아차리고 만족을 지연하는 연습
경계: 관계 속에서 ‘지켜야 할 선’ 가르치는 법
3장. [심화편] 함께 살아가기 위해 배워야 할 가치
규칙: 불필요한 오해와 갈등을 줄여주는 삶의 기술
책임: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고 인정할 때 얻어지는 것
공감: 서로 마음을 나누는 것은 왜 중요할까?
협력: 경쟁보다 협력의 가치를 먼저 가르쳐야 하는 이유
존중: 넓은 관계 속에서 더 많은 기회를 잡는 아이의 비밀
온라인 예절: 한 줄의 글도 가볍게 여기지 않는 마음
4장. [실전편] 친구 갈등을 유연하게 해결하는 법
아이들이 갈등을 대하는 5가지 방식
아이들의 갈등에 언제, 어떻게 개입해야 할까?
친구에게 지나치게 의존하는 아이
하고 싶은 것이 분명하고, 자기주장이 강한 아이
자주 삐치고, 사과해도 안 받아주는 아이
친구에게 다가가기 어려워하는 아이
몸이 먼저 나가는 과격한 아이
거절을 잘 못 하는 아이
5장. 아이의 사회성에 대한 흔한 오해들
또래와 잦은 접촉이 중요하다?
사회성은 커가면서 자연스럽게 자란다?
내향적인 아이는 사회성이 부족하다?
친구들과 갈등 없이 지내는 것이 좋다?
친구의 수가 사회성의 척도다?
놀이터는 사회성의 교실이다?
부모가 내성적이면 아이의 사회성 발달이 더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