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프롤로그 : 아빠라는 자리가 어렵게 느껴지는 아빠에게
1장 : ‘나’라는 시스템부터 점검하기
1. 아빠도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2. 버그투성이였던 나의 성장기
3. 아빠라는 역할에 로그인하기
2장 : 진단과 인식 : 내 안의 시스템 로그 열기
1. 디버깅 : 내 안의 상처 찾기 .
2. 대물림된 코드, 그 무의식의 루프
3. 의도 vs 결과 : 나도 몰랐던 부모의 흔적
4. 감정의 스택 트레이스 : 나의 반응은 어디서 왔는가?
5. 내가 피해자인 동시에, 누군가의 가해자가 될 수 있다는 사실
3장 : 구조 설계 : 새로운 아빠 프로그램을 짜다
1. 좋은 아빠 아키텍처란 무엇인가?
2. ‘버전 2.0’ 아빠로 전환하기 위한 조건들
3. 부정확한 설계서 : 사회가 말하는 ‘이상적인 아빠’의 오류
4. 사랑과 안전, 핵심 로직의 우선순위 정하기
4장 : 모듈 최적화 : 감정과 관계를 재설정하는 기술
1. 감정처리기 : 분노를 로그로 남기기
2. 정서 캐시 클리어 : 쌓인 감정 털어내기
3. 공감 엔진 : 아이의 시점에서 디버깅하기
4. 회복 루틴 : 아빠의 리커버리 코드
5. 아내와의 커플 리팩토링 : 부부 동기화의 중요성
4장 : 모듈 최적화 : 감정과 관계를 재설정하는 기술
1. 감정처리기 : 분노를 로그로 남기기
2. 정서 캐시 클리어 : 쌓인 감정 털어내기
3. 공감 엔진 : 아이의 시점에서 디버깅하기
4. 회복 루틴 : 아빠의 리커버리 코드
5. 아내와의 커플 리팩토링 : 부부 동기화의 중요성
5장 : 일상 속 구현 : 실행 가능한 루틴 만들기
1. 루틴 설계 : 매일 실행되는 작은 습관
2. 시간 관리 : 멀티태스킹 대신 스케줄링
3. 아이와의 일대일 통신 채널 유지하기
4. 실행 실패 시 : 롤백과 리트라이 전략
6장 : 성장과 업데이트 : 아빠도 계속 배워야 한다
1. 업데이트 주기 : 아빠도 학습이 필요하다
2. 버전 히스토리 : 1.0에서 2.0까지의 변화
3. 외부 모듈 활용 : 독서, 멘토, 상담의 힘
4. 아이의 피드백 시스템 구축하기
5. ‘내가 모른다’는 말의 힘 : 유연한 아빠 되기
7장 : 보안과 안전 : 정서적 보안을 위한 규칙 만들기
1. 정서적 방화벽 : 나와 아이를 지키는 감정 규칙
2. 갈등 상황에 대응하는 안전 프로토콜 설정하기
3. 오류 보고서 : 실수했을 때의 대처법
4. 아이의 신뢰를 얻는 API 설계
5. 보호자 모드 vs 관리자 모드 : 통제 아닌 보호로
8장 : 나와의 화해
1. 원시 코드 : 부모를 이해한다는 것
2. 내 안의 ‘작은 나’를 품는 기술
3. 과거의 나에게 보내는 사과문
에필로그 / 미완성의 미학 - 완성된 프로그램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