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제주도인민유격대의 태동
해방 이후 제주도
1. 귀환인구의 급증, 실직과 생필품 부족
2. 자연재해와 식량난, 미군정의 미곡(米穀) 정책에 반발
3. 관리의 부정부패
4. 미군정의 패착, 친일파 재등용
제주도의 정치 상황과 분위기
1. 해방 후 86일, 짧았던 진짜 해방과 제주도인민위원회
2. 민중의 여론과 민전(民戰) 건국5칙(建國五則)
3. 거리에 울려 퍼진 인민항쟁가
3·1발포사건과 총파업
1. 남로당 제주도위원회 3·1절 기념행사 총동원 준비
2. 제주현대사의 분수령, 3·1절 발포 사건
3. 온 도민이 나선 총파업
거세지는 탄압, 멀어지는 꿈
1. 메아리로 돌아온 검거와 고문
2. 악몽의 이름, 서북청년단
3. 유해진 도지사의 폭정
4. 거듭되는 탄압
5. 멀어지는 통일독립정부
탄압이면 항쟁이다!
1. 남로당 제주도위원회의 무장봉기 결정
2. 전 도민이 총칼 앞에 제 가슴을 내밀었다!
3. 봉기의 목적
4. 남로당 중앙당 지령설
5. 무장봉기를 위한 준비
제2장 제주도인민유격대의 조직과 운영
제주도인민유격대의 조직
1. 남로당 제주도위원회의 조직체계
2. 유격대의 조직
3. 조직개편 과정
4. 면당(面黨)의 조직체계
5. 병력 및 무기
6. 유격대 와해와 하산명령
7. 제주도인민유격대 지도부(사령관) 계보
제주도인민유격대의 운영
1. 교육 및 훈련
2. 규율
3. 내부 분열 및 숙청
4. 빗개
5. 연락병
6. 열악한 생활환경과 보급
7. 유격대 근거지
제3장 제주도인민유격대의 활동
활동일지
1. 무장봉기와 5·10 단선 저지
2. 지하 선거, 남과 북 각각 정부 수립
3. 충돌의 격화, 주민 대량 희생
4. 대토벌과 귀순공작, 유격대의 와해
5. 한국전쟁 발발, 잔여 유격대의 준동과 소멸
유격대의 활동 현황
1. 월별 활동 현황
2. 시기별 활동 현황
주요 활동
1. 경찰지서 및 우익인사 지목 습격
2. 5·10 단선 거부
3. 지하선거와 김달삼 사령관의 월북
4. 인민공화국 지지
5. 주민 구출 작전
6. 선전, 홍보
7. 도로 차단, 통신 방해, 교량 파괴
8. 반미투쟁
유격대에 의한 피해
1. 유격대에 의한 피해 실태
2. 무차별 습격과 살상 사례
3. 개별 사례
4. 유격대의 과오
국방경비대와 제주도인민유격대
1. 4월 3일 봉기와 국방경비대
2. 9연대 침투 세포들의 활동
3. 국방경비대 탈영이 유격대 활동에 미친 영향
4. 박진경 연대장 암살
주요 전투
1. 주요 전투 및 교전 일지
2. 주요 전투
협상(평화회담)
1. 4·28 회담
2. 추가 협상은 없었나?
통일조국을 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