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5
시작하며 13
제1장 치매의 사회적 처방
우리에게는 전문가가 필요합니다 24
제2장 치매가 있어도 평범한 일상을 누릴 수 있습니다
치매가 있어도 평범한 일상을 누릴 수 있습니다 38
치매는 무섭지만, 검사는 받기 싫어요 47
치매가 있어도 일상생활을 누릴 수 있습니다 51
한국과 일본의 치매법은 어떻게 다른가요? 54
노인 10명 중 1명이 치매라고? 58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상 속 작은 실천 62
외로움과 치매, 중요한 것은 사회적 고립을 방지하는 것 68
치매가 있어도 안심할 수 있는 사회가 필요합니다 74
제3장 치매는 정확한 진단이 우선입니다
치매 검사 받으려면 어디로 가요? 82
치매안심센터에서 치매 검사는 어떻게 해요? 84
치매 검사를 집에서 혼자 해 볼 수는 없나요? 90
이렇게 물어보는 검사 말고, 피검사로 하면 안 돼요? 95
치매도 유전되나요? 치매 유전자 검사를 받아야 할까요? 97
치매 예방약이나 예방주사는 없나요? 99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인가요? 101
치매가 걱정될 때 가장 올바른 대응법은 무엇일까요? 106
치매 검사를 거부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110
제4장 치매로 진단받으면 돌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나요 _노인장기요양보험
장기요양 서비스 어떻게 신청해요? 118
장기요양 서비스 어떻게 이용해요? 127
장기요양 서비스 제공기관 종류와 비용은? 130
장기요양 서비스 제공기관은 어떻게 찾아요? 154
미리 찾아보고 알아봐야 하는 즐거운 나의 집, 요양시설 사전탐방 159
노인장기요양보험 _자주 묻는 질문 164
제5장 치매로 진단받으면 비용을 지원해 주나요? _경제지원제도
중증치매 본인부담 10% _중증치매 산정특례 178
국가치매관리지원사업 _보건소 치매안심센터 183
치매 가족 추가공제 _치매 가족 연말정산 인적공제 186
제6장 치매가 있는 부모님을 보호하고 싶어요 _성년후견제도
후견제도가 뭐예요? 194
누가 후견인이 될 수 있나요? 199
누가 어떻게 후견을 신청할 수 있나요? 201
후견신청을 위한 필요서류는 무엇이 있나요? 204
후견신청을 할 때 비용은 얼마나 들어가나요? 206
후견인의 보수는 누가 얼마나 주나요? 208
후견인이 되면 어떤 일을 할 수 있나요? 210
성년후견제도 _자주 묻는 질문 212
제7장 앞으로 치매 사회에서 우리는
치매의 사회적 처방이 가능한 전문가가 필요합니다 226
외롭지 않고 함께할 수 있는 사회적 가족도시로 변해야 합니다 235
요양원은 싫다고요? 그럼, 집과 같은 요양원은 어떤가요? 239
미래와 치매를 준비하며 살아야 합니다 249
치매가 있어도 괜찮습니다 257
부록 268
치매 관련 도서 목록 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