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보안의 인문사회학적 기초
제1장. 보안의 개념과 철학적 성찰
1. 보안(Security)의 개념과 역사
2. 보안에 대한 철학적 성찰
3. 보안의 존재론과 목적론
4. 보안의 윤리와 가치
5. 철학자들의 눈으로 본 보안
제2장. 위험 사회와 보안: 현대 사회학의 시선
1. 위험 사회 이론과 현대의 불안
2. 기술 발전이 낳은 새로운 취약성
3. 사회적 리스크의 인지와 조작
4. 위험에 대한 사회적 대응방식
제3장. 보안과 사람: 심리와 행동의 이해
1. 보안과 인간 심리: 인지 편향의 함정
2. 사용자 실수는 왜 반복되는가요?
3. 사회적 행동과 보안 취약성
4. 의사결정과 위험 인식
5. 감정, 습관, 무관심의 보안 영향
6. 인공지능 시대의 감정을 잃지 않는 존재로서의 인간
제2부 보안의 사회적 맥락과 권력구조
제4장. 보안의 사회적 맥락과 권력 구조
1. 감시 사회와 권력의 재구성
2. 정보기술과 국가 권력의 연계
3. ICT 사회 구조 변화
4. 플랫폼 권력과 알고리즘 통제
5. 보안과 자유, 통제 사이의 철학적 긴장
제5장. 조직 내 보안문화와 리더십
1. 보안사고의 조직적 원인 구조
2. 보안문화란 무엇인가
3. 보안 리더십의 조건
4. 보안 문화 구축의 실제 사례
제6장. 보안의 불평등과 사회적 배제
1. 디지털 불평등과 보안 격차
2. 보안 취약성과 사회적 낙인
3. 지역, 젠더, 장애를 고려한 보안 설계
4. 정보권리와 보안 정의
제3부 보안의 현실: 공격자와 사용자 사이
제7장. 해커의 사회학: 동기, 윤리, 문화
1. 해커란 누구인가: 정의의 역사와 변화
2. 해커의 동기
3. 해킹의 원인
4. 해커들의 심리구조
5. 해커 집단의 구조와 커뮤니티 문화
6. 해커와 사회: 긍정적 기여와 위협의 경계
7. 인공지능 시대 해커의 위치
제8장. 사회공학적 공격의 인문학적 분석과 실제 사례
1. 이론적 접근
2. 심리학 기반 공격기법 분석
3. 실제 사례 분석
4. 기업 규모별 공격 사례
제4부 사람 중심 보안의 설계와 실천
제9장. 사이버 범죄와 보안의 법·제도
1. 사이버 범죄의 유형과 진화
2. 디지털 공간에서의 범죄 패턴 변화
3. 대응 법·제도
4. 주요 사례로 본 사이버 범죄의 구조
5. 법·제도의 대응과 한계
6. 보안 거버넌스와 사회적 책임
제10장. 사용자 중심 보안 설계 원칙
1. 보안 사용성(Usability) vs 보안성(Security)의 긴장
2. 행동 기반 보안 인터페이스 설계
3. 사람의 실수를 전제로 하는 설계
4. 휴먼센트릭 디자인의 미래
5. IoT(Internet of Things) 보안
제11장. 보안교육과 감수성: 대학과 사회를 위한 전략
1. 보안교육의 한계와 전환 필요성
2. 리터러시 기반 보안 교육
3. 공감 기반 교육 모델
4. 교육의 확장: 대학에서 사회로
제12장. 회복력 있는 사회를 위한 보안 패러다임
1. 보안의 목표, ‘예방’에서 ‘회복’으로
2. 신뢰 기반 보안 모델
3. 윤리적 보안 생태계 설계
4. 보안과 사회의 공존을 위한 미래 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