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1 컴퓨터 개론
_1.1 문서 정리원 모형
_1.2 명령어 집합
_1.3 마무리
CHAPTER 2 컴퓨터 구조론
_2.1 논리 게이트와 조합 논리
_2.2 이진 디코더
_2.3 기타 게이트: 가역 게이트
_2.4 연산자의 완전 집합
_2.5 플립플롭과 컴퓨터 메모리
_2.6 타이밍과 시프트 레지스터
CHAPTER 3 계산이론
_3.1 유효 절차와 계산 가능성
_3.2 유한 상태 기계
_3.3 유한 상태 기계의 한계
_3.4 튜링 기계 1
_3.5 튜링 기계 2
_3.6 범용 튜링 기계와 종료 문제
_3.7 계산 가능성
CHAPTER 4 코딩과 정보이론
_4.1 계산과 통신이론
_4.2 오류 검출 및 정정 코드
_4.3 섀넌의 정리
_4.4 메시지 공간의 기하학
_4.5 데이터 압축과 정보
_4.6 정보 이론
_4.7 기타 코딩 기법
_4.8 아날로그 신호 전송
CHAPTER 5 가역 계산과 계산의 열역학
_5.1 정보의 물리학
_5.2 가역 계산과 계산의 열역학
_5.3 계산: 에너지 비용 vs. 속도
_5.4 일반적인 가역 컴퓨터
_5.5 당구공 컴퓨터
_5.6 양자 계산
CHAPTER 6 양자역학적 컴퓨터
_6.1 개론
_6.2 가역 컴퓨터를 이용한 계산
_6.3 양자역학적인 컴퓨터
_6.4 불완전성과 비가역적인 자유 에너지 손실
_6.5 구현 단순화 방법
_6.6 결론
_6.7 참고문헌
CHAPTER 7 40년 후의 양자 컴퓨팅
_7.1 파인만과 양자 계산
_7.2 우리가 가는 곳, 우리가 있는 곳
_7.3 양자 정보
_7.4 양자 컴퓨터란 무엇일까?
_7.5 양자 동역학 시뮬레이션
_7.6 에너지 고윳값 및 고유상태
_7.7 양자 오류 정정
_7.8 전망
_7.9 참고문헌
CHAPTER 8 계산의 물리적 측면
_엮은이로부터
_8.1 반도체 소자 물리학
_8.2 컴퓨터에서의 에너지 사용 및 열 손실
_8.3 VLSI 회로 구축
_8.4 컴퓨터 설계와 연관된 몇 가지 추가 제약조건
CHAPTER 9 무어의 법칙을 넘어선 컴퓨팅의 미래
_9.1 소개
_9.2 새로운 계산 모형의 보완적 역할
_9.3 특화 설계
_9.4 CMOS 대체: ‘새로운 트랜지스터’ 발명하기
_9.5 가역성 돌아보기
_9.6 결론
_9.7 참고문헌
CHAPTER 10 파인만과 인공지능
_10.1 소개
_10.2 1980년대의 물리학과 유사한 신경망
_10.3 AI/ML의 봄
_10.4 계산 과학을 위한 AI/ML
_10.5 수학적 합성과 기호주의 AI로의 회귀?
_10.6 결론
_10.7 참고문헌
EPILOGUE 파인만과의 기억
_칼텍에서의 파인만
_물리학과 계산: 파인만, 홉필드, 서스만에게 배운 것
_파인만을 추억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