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들어가며 류큐ㆍ오키나와의 지정학적 위치9
류큐와 바다의 아이덴티티
오키나와의 위치
육지의 오키나와, 바다의 오키나와
제1장 오키나와 연구의 5세대ㆍ150년-오키나와를 어떻게 인식해 왔는가
이하 후유伊波普猷와 국학 속의 오키나와
류큐왕조의 아이덴티티
야마토에서 바라본 오키나와론
류큐ㆍ오키나와에서 바라본 일본론ㆍ남양론
페리의 류큐 개항
오키나와 지역론
오키나와로부터의 메시지-‘경제발전’, ‘소비사회’에 대한 경고
오키나와 문화의 ‘지知’의 체계
류큐왕조 『역대보안歷代寶案』의 세계
명ㆍ청 조정에 대한 일본 정보
생사 무역과 일본의 공업화
제2장 류큐ㆍ오키나와를 둘러싼 아시아 해역
오키나와에서 바라본 아시아론
아시아의 해역-바다와 국가
해역의 성립과 남서제도의 입체 구조
아시아의 해양 패권
류큐ㆍ오키나와에서 바라본 동남아시아
해역이라는 정치 공간
지역의 다이너미즘
제3장 동아시아 조공 시스템과 류큐
동아시아사를 통해 본 화이질서
해역 사회의 결속-조공ㆍ교역ㆍ이민ㆍ해신
조공 무역과 류큐 네트워크
동아시아사를 통해 본 화이관
화이이념과 위계제도
화이질서의 교섭 방식
화이변태ㆍ동아시아사의 다이너미즘
이시가키지마의 화이질서와 네트워크
광역 산업 네트워크-광둥 13공행
광둥무역-아시아 역내 무역에 침투한 서양
표류에서 이민으로
청조 조공정책의 전환
아편전쟁의 재검토
주변지역의 정치적 변동
메이지 천황에 의한 류큐 책봉
제4장 새로운 아시아자료학을 목표로
종합자료로서의 『역대보안』-류큐왕국의 외교문서집
사본으로서의 『역대보안』
류큐왕국의 외교
류큐와 마닐라의 교역
사람의 이동과 동아시아 이민권의 형성
아시아ㆍ동남아시아 영역내 네트워크의 활성화
류큐의 역할
일본을 향한 ‘사람’의 이동-나가사키 내항 ‘당선唐船’
조선으로부터의 표류민
마조 신앙권과 ‘사람’의 이동
동아시아 지역으로의 새로운 관점
제5장 국가를 뛰어넘는 류큐ㆍ오키나와 모델
오키나와 연구의 시점
국민국가와 광역지역-국민국가의 역사성ㆍ국가를 뛰어넘는 광역지역의 시점
지구화와 지방화 속의 오키나와 연구-경제발전 모델과 지역관계 모델
류큐ㆍ오키나와 연구의 역사적 배경
이민 네트워크
오키나와 이민의 지역적 특색
네트워크의 여러 문제-교섭과정을 통해 본 네트워크
이민 송금 네트워크
오키나와로의 이민 송금
오키나와의 지정학적 아이덴티티
오키나와의 해양력Sea Power
오키나와의 전후 체험과 기억
나오며
류큐ㆍ오키나와의 역사 자원과 정보 자원
오키나와학과 오키나와론
아시아 속의 오키나와ㆍ현대 세계 속의 오키나와
류큐사 연표
류큐ㆍ오키나와연구 주제별 문헌 목록
역자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