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5
서 문 8
제1장 금관총은 어떻게 발굴되었나
제1절 최초로 신라 왕릉의 존재를 인식한 김정희 26
제2절 금관총 유물은 어떻게 수습되었나 34
제3절 금관총 유물에 열광하는 일본인 학자들 38
제4절 ‘경주왕’으로 불린 골동품 브로커 50
제2장 금관총의 원형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제1절 금관총의 봉분 62
제2절 금관총 등 신라 고분에서 점토의 용도 65
제3절 새로 확인된 목조 가설물의 존재 73
제4절 금관총은 정말 중형 고분이었을까 81
제5절 ‘1관 1곽’의 묘장 배치 93
제6절 제사 의식의 흔적들 102
제3장 금관총의 주인공 ‘이사지왕’은 누구인가
제1절 ‘이사지’에 대한 학자들의 언어적 접근들 114
제2절 ‘이(尒)’는 신라시대에 어떻게 발음되었나 128
제3절 ‘이사지’의 ‘사’는 어떻게 사용되었나 141
제4절 신라어에서 ‘지’는 어떤 성분인가 159
제5절 ‘차칠왕등’과 이사부의 문제 179
제6절 ‘이사지’의 종합적인 음운 분석 189
제4장 눌지 마립간은 어떤 인물이었나
제1절 눌지의 내력 210
제2절 석씨 집단의 사람 실성 221
제3절 동생들을 구해 올 인물을 물색하다 240
제4절 박제상의 순국 258
제5절 눌지 마립간의 업적들 268
제6절 눌지 마립간의 대외관계 282
제7절 《일본서기》 기사는 어디까지가 진실인가 293
제5장 금관총 위세품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제1절 금관 315
제2절 관모 338
제3절 환두대도 354
제4절 귀걸이 379
제5절 반지 396
제6절 팔찌 412
제7절 허리띠 428
제8절 금동 신발 454
제6장 그러면 금관총 주변 고분들은 누구의 무덤인가
제1절 봉황대 - 봉황이 깃든 왕릉 481
제2절 금령총 - 요절한 신라 왕자의 무덤 495
제3절 식리총 - 실성의 무덤인가 502
제4절 서봉총 - 봉황 장식 금관이 나온 무덤 511
제5절 에필로그 - 노동-노서동 고분군은 나물계 마립간의 가족묘지일까 538
참고문헌 545
찾아보기 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