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_율곡에게 인생을 묻다
인물 스케치_율곡, 그는 누구인가
제1장 인간으로 산다는 것
1. 인간의 정체
2. 참된 인간의 길
3. 민중 구제를 지향한 인생의 꿈
4. 번뇌에 찬 양심적인 선비
5. 평범함과 천재성을 갖춘 인간
시와 인생 - ‘인간, 파리 한 마리가 우주에 붙어사는 신세라’
제2장 좋은 삶을 찾아서
1. 공부하는 삶의 즐거움
2. 가출(家出), 방황 그리고 불교 공부
3. 귀향(歸鄕), 그리고 삶의 방향 정립-「자경문」
4. 인(仁)을 실천하는 삶
5. 의(義)를 실천하는 삶
6. 성실하게 사는 삶
시와 인생 - ‘퇴계를 만나다 - 인생의 도(道)를 듣고자 할 뿐’
제3장 좋은 삶을 위한 수양의 길
1. 가치로운 뜻을 정립함
2. 마음의 사욕을 제거함
3. 선(善)을 정밀하게 탐구함
4. 항상 선한 생각을 함
5. 일상에서 선을 실천함
6. 기질적인 문제를 극복함
7. 나쁜 습관을 고치는 방법-「격몽요결」
시와 인생 - ‘마음은 쟁반의 물 같아서 잡기 어려우니’
제4장 좋은 삶을 위한 인덕(仁德)의 실천
1. 인(仁)의 덕량을 넓힘
2. 인덕 실천을 위한 인격자의 도움
3. 덕행의 지속적 실천
4. 배려하는 혈구지도(絜矩之道) 마음의 실천
시와 인생 - ‘광거(廣居)하는 삶이 참된 삶이니’
제5장 좋은 삶을 위한 가정 윤리의 실천
1. 가족과 함께하는 참된 행복
2. 가정 윤리의 모범 - 「동거계사」
3. 효행(孝行) 실천의 아름다움
4. 부모님께 공손하게 의(義)를 말씀드림
5. 소외된 가족 구성원을 배려함
시와 인생 - ‘형제 사이는 산하가 막혔고, 아내의 편지는 오지 않네’
제6장 좋은 삶을 위한 안인(安人)의 실천
1. 민생(民生)이 곧 진리, ‘민생을 해치는 왕은 원수다!’
2. 개혁, 오직 민중을 살리는 길
3. 언로(言路) 개방으로 자유로운 의견 제시
4. 나라 지킴의 소명 실천
5. 충간(忠諫), ‘왕께서는 덕이 부족하고 여색(女色)을 너무 밝히십니다’
시와 인생 - ‘세상에 맞지 않는 일 하도 많아’
제7장 좋은 삶을 위한 인성 함양 교육의 실천
1. 수선(首善)의 인성 함양 교육
2. 덕 함양 교육의 규범-「학교모범」
3. 교사의 가르침을 비판적으로 사유함
4. 인성 교육 역량 함양을 위한 교사 평가
5. 교사, 인의(仁義) 실천 교육의 모범
6. 벗으로 인(仁)을 돕게 하는 교육
시와 인생 - ‘구산서원(丘山書院)에서 학생들을 일깨우다’
에필로그 - 우리 자신의 인생을 묻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