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AI를 넘어서는 아이는 미디어 지능에서 시작됩니다
PART 1 미디어 지능, 부모부터 먼저 알아야 합니다
미디어 교육도 공부가 필요하다
이제는 무감각의 시대를 벗어나 눈을 떠야 할 때 | “어른들은 이해 못해”를 외치는 아이들 | 미디어 교육, 그 뿌리와 현재 | ‘못 쓰게’가 아니라 ‘잘못 쓰지 않게’ 그리고 ‘잘 쓰게’
어떻게든 잘 키워야 한다는 두려움을 극복하려면
시작은 부모의 미디어 초감정 살피기부터 | 기술에 지배당할 것이라는 두려움 뛰어넘기 | 기술에 도태될 것이라는 두려움 뛰어넘기 | 기술에 대한 오해로 생긴 두려움 뛰어넘기
미디어 가이드, 제대로 이해하고 현명하게 활용하자
미디어 사용 시간이 기준이 된 진짜 이유 | 연령별 주목해야 하는 가이드라인 | 양질의 콘텐츠를 알아보는 안목 키우기 | 국내 미디어 추천 기관 | ‘무엇을 보느냐’보다 더 중요한 ‘어떻게 보느냐’ | ‘미디어 가이드라인 잘 지키기’보다 더 중요한 것
PART 2 우리 집만의 미디어 철학을 만들자
가짜 조절 말고 진짜 조절을 가르치자
엄마가 알면 혼나니까 절대로 들키면 안 돼요! | 진짜 자기 조절력이 싹트는 4가지 조건 | 미디어 사용 조절을 돕는 오프라인 교육 3가지 포인트 | 당신의 미디어 조절력은 안녕하신가요?
우리 집 맞춤형 미디어 수칙 만들기 3단계
미디어 교육도 예외 없이 철학에서 출발해야 한다 | 1단계: 나의 미디어 양육 유형 파악하기 | 2단계: 나의 가치관 살펴보기 | 3단계: 온오프라인의 균형을 만드는 디지털 플래닝 시작하기 | 4단계: 아이가 직접 만든 규칙을 잘 못 지킬 경우
디지털 동네, 안전하게 거닐려면
적신호를 알아보는 미디어 메타인지력 | 온라인 환경 울타리 세우기 | 지워지지 않는 온라인 발자국 | ‘셰어런팅’ 대신 자기 옹호력 키워주기 | 소셜 미디어와 자아: SNS 과몰입과 자존감
PART 3 AI로 공부할 때 아이가 키워야 할 것들
미디어와 학습이 만났다
AI 교과서도 나오는 세상이라는데 | 디지털 학습 앱, 득일까 독일까 | 학습에서의 미디어 활용, 결과보다 과정과 의도가 중요하다
미디어 판단력을 키워라
‘카더라 통신’의 파도에 휩쓸리지 않는 아이로 키우려면 | 프레임 속에서 자기중심을 잡을 줄 아는 아이로 키우려면 | 알고리즘을 넘어서 주체적으로 활용하는 아이로 키우려면
PART 4 온라인에서 건강하게 관계를 쌓기 위한 필수 3가지
의미 있는 연결을 만드는 온라인 에티켓
악성 댓글의 일반화를 벗어나길 바라 | 마녀사냥과 캔슬 컬처에 휩쓸리지 않기를 바라 | 진정한 선한 영향력을 이해하길 바라
단단한 관계를 만드는 온라인 소속감
튼튼한 우정은 건강한 경계로 만들어진다 | 커뮤니티 활동의 득과 실을 중간 점검하자 | 사이버 불링, 처벌만이 능사가 아니다
올바른 성 의식을 쌓아주는 온라인 성교육
‘성’ 토크, 불편해도 꼭 필요한 이야기 | 성 콘텐츠의 소비자가 된 아이, 어떻게 교육할까? | 성 콘텐츠의 참여자가 된 아이, 어떻게 교육할까?
PART 5 우리 아이가 미디어 생산자가 된다면?
모두가 미디어 생산자가 되는 시대, 진짜 필요한 능력
소비와 숙련을 넘어 창작으로 | 디지털 창작자를 위한 회색 지대 가이드 | 기술로 만드는 글로벌 공감과 협력
부록 1 파트별 핵심 포인트
부록 2 우리 아이 맞춤형 미디어 교육 웹사이트
부록 3 TV 및 영상물 등급 분류표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