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약어
서론
1. 고철 더미에서 건진 보물
2. 두 명의 예수 학자 이야기: 슈바이처와 불트만
3. 슈바이처와 불트만 다시 보기
4. 몇 가지 부연 설명
5. 논증의 전개 방법
1장 예수의 기도
1. 서론
2. “아버지”의 의미: 역사비평의 난제
3. 야웨를 “아버지”로 묘사한 초기 기독교와 유대교 전통
1) 야웨를 “아버지”로 묘사한 초기 기독교 전통
2) 야웨를 “아버지”로 묘사한 유대교 전통
3) 종합
4. “야웨 아버지” 개념의 배경이 되는 출애굽 내러티브
5. 주기도: 시종일관 종말론적인 기도
1) 첫 번째 간구: “[당신의]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소서Q”( 11:2b)
2) 다양한 제사장적 주제들: 두 번째 간구에서 일곱 번째 간구까지
6. 요약
2장 예수의 세례
1. 서론
2. 요한의 세례
3. 역사로서의 세례와 신현
1) 자료에 대한 검토
2) 신현을 둘러싼 질문들
3) 다시 신현으로
4. 마가복음 1:11과 병행 구절에서 예수의 세례가 갖는 의미
1) 성서 인용의 출처(막 1:11과 병행 구절)
2) 마가복음 1:11에 인용된 구약성서 구절들이 제2성전기에 수용되어온 방식
3) 종합
5. 공관복음 내러티브에서 예수의 세례를 이해하는 방식
1) 마가복음
2) 마태복음
3) 누가복음
4) 종합
6. 요약
3장 예수의 왕국
1. 왕국의 묵시적 구조: 씨뿌리는 자의 비유(막 4:4-9)
1) 씨뿌리는 자의 비유 해석: 첫 단계
2) 씨뿌리는 자의 비유에 선행하는 세 개의 “씨앗 텍스트”에 나타나는 종말론적 기대의 유형
3) 씨뿌리는 자의 비유 재조명
4) 씨뿌리는 자의 비유와 역사적 예수
2. 왕국의 미래에 대한 구상: 소금의 비유(마 5:13//막 9:50//눅 14:34-35)
1) 마태복음에서 소금의 비유(마 5:13)
2) 누가복음에서 소금의 비유(눅 14:34-35)
3) 마가복음에서 소금의 비유(막 9:50)
4) 소금의 비유와 역사적 예수
3. 하나님 나라의 현재 윤곽: “복에 관한 강화(”Q 6:20-21)
1) 복에 관한 강화의 의미
2) “가난한 자”와 역사적 예수
3) 복에 관한 강화와 역사적 예수
4. 요약
4장 다윗의 자손 예수
1. “다윗의 자손” 예수
1) 초기 기독교 전통에서 바라본 다윗의 자손 예수
2) 다윗의 자손과 역사적 예수
2. 제사장적 인물로서의 다윗과 “다윗의 자손”
1) 다윗과 솔로몬이 제사장으로서 수행한 일들
2) 다윗과 솔로몬의 이례적인 제사장 지위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3. 제사장적 “다윗의 자손” 예수
4. 요약
5장 인자
1. 다니엘서에서 인자는 누구인가?
1) 다니엘서의 제의적 성격
2) 다니엘서에서 “인자”라는 호칭의 배경
3) “성도들”은 누구인가?
4) 종합
2. 역사적 예수와 다니엘서의 인자
1) 예비적 고찰
2) 중풍병자의 치유(막 2:1-10과 병행 구절)
3. 요약
6장 예수의 제사장 직분 재조명
1. 안식일 준수: 밀밭 논쟁(막 2:23-28과 병행 구절)
1) 마가복음의 밀밭 논쟁 기사
2) 역사적 예수와 밀밭 논쟁
3) 요약
2. 제사장 직분에 대한 서로 다른 접근법: 예루살렘의 유력자들과 예수의 추종자들(Q 9:58)
1) 머리 둘 곳이 없는 인자
2) 대안적 윤리: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에 관한 계명(막12 :28-34과 병행 구절)
3) 종합
3. 모두 함께하는 식사: 장터에 앉은 아이들의 비유(Q 7:31-35 = 마 11:16-19//눅 7:31-35)
1) 전승들 배후에 감춰진 예수의 목소리 듣기
2) 지혜가 행하는 일들(마 11:16-19)
3) 지혜와 그의 자녀(눅 7:31-35)
4) 종합
4. 요약
7장 마지막 대결
1. 서론
2. 카이사르에게 바치는 세금(막 13:13-17과 병행 구절)
1) 마가복음 12:13-17에 대한 표준적인 해석의 문제점
2) “형상”과 “글”의 의미
3) 다니엘서에서 “하나님의 일”
4) 바울 서신에서 “하나님의 일”(고전 2:1-14)
5) 마가복음에서 하나님의 일
6) 예수의 관점에서 “하나님의 것”
3. 예수의 재판(막 14:53-65과 병행 구절)
1) 마가복음이 제시하는 재판 내러티브
2) 재판에 관련된 역사적 문제
3) 재판에서 진행된 대화
4) 예수에게 씌워진 신성모독죄의 본질(막 14:62)
4. 요약
결론
참고문헌
고대 자료 및 성구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