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_지역신문 생태계 구축에 도움이 됐으면
제1장 21세기 언론환경
정보독점시대의 종언 / 신문과 방송의 속보기능 상실 / 기자의 정보 유통 독점성 / 뉴스 생산자와 소비자의 경계 / 기자보다 더 뛰어난 전문가들의 뉴스 생산 확대
제2장 지역신문 생태계 붕괴
신문구독층의 급격한 감소 / 젊은 세대의 신문 외면 / 광고수입의 급격한 감소 / 광고수입 감소의 부작용 / 지자체 광고 의존 심화 / 지자체 광고와 저널리즘 / 지역신문의 지자체 감시기능 / 지자체 감시기능 취약 부작용 / 지역신문 기자가 현장 가기 어려운 아이러니 / 지역신문의 웹 활용방식 / 지역신문의 유튜브 대응 / 지역신문의 소셜 미디어(social media) 활용 / 지역신문 생태계 붕괴 부작용 / 지역신문이 존재해야 할 이유
제3장 대안 모색
뛰어난 제작 시스템을 갖고 있는 지역신문 / 지역신문의 현실 / 기사냐? 콘텐츠냐? / 편집국의 혁신 / 편집국 혁신의 현실 / 편집국 혁신의 파괴력 / 외부지원의 방법과 필요성 / 기존 편집국 시스템의 장점 / 달라진 언론 환경 / 개선방안 / 21세기 이상적 편집국 시스템 / 간부가 취재기자보다 많다 / 지역신문 디지털국의 역할 / 편집국과 디지털국의 관계 / 지역신문 제작 시스템의 진화 방법 / 유료독자 유지 방안 / 젊은 독자를 늘릴 수 있는 방안 / 지역신문의 광고 효과 / 지역신문 혁신을 위한 지원부서의 역할 / 웹 독자 관리의 중요성 / 기자 업무 스타일의 변화 / 좋은 저널리즘을 위해 / 하이퍼로컬 저널리즘의 필요성과 한계 / 기자들의 근무환경 개선 / 빅데이터의 활용 / AI저널리즘과 지역신문 / 디지털 전환을 위한 투자재원 확보방안
제4장 마무리
플랫폼기업으로 변신 / 지역AI기업과의 전략적 제휴 / 더 이상 지역신문을 방치하면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