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1. 작가 한강 _안병만
• 2024년 노벨 문학상 선정 이유(안데르스 올손/노벨 문학상 심사 위원장)
• 노벨 문학상? 노벨 문학상!
• 한강의 소설을 읽어야 하는 이유
• 한강의 소설은 인간 삶의 연약함을 드러낸다
• 회복은 상처를 드러내는 데서 시작한다
• 한강 작품의 모티프, 꿈
• 한강 작품 속의 이탤릭체(기울임글꼴)
• 한강의 소설에는 작가의 삶이 투영되어 있다
02. 채식주의자 _홍미애
• 들어가며
• 세 가지 빛깔로 엮어 내는 하나의 이야기
• 이야기를 전달하는 특별한 방법, 시점
• 욕망이 빚어낸 삶의 모습들
• 욕망의 폭력성, 폭력적인 삶
• 불완전한 삶에 던지는 질문들
• 상징으로 작품 읽기
• 남은 이야기
03. 희랍어 시간 _민태홍
• 들어가며
• 나와 너, 그리고 우리의 이야기
• 세상이 환(幻)이고, 산다는 것이 꿈이라는 화두
• 침묵에 귀 기울이기
• 꿈은 무의식의 우물로 들어가는 열쇠
• 체온으로 전하는 따뜻한 소통
• 남은 이야기
04. 소년이 온다 _이석중
• 들어가며
• 일곱 개의 시선으로 보는 소년의 이야기
• 학살과 저항-5‧18 민주화 운동
• ‘우리’와 ‘우리 군대’의 애국가와 태극기
• 소년 동호, 도청에 남다
• 왜 ‘소년’이며 왜 ‘온다’일까
• 시점의 변주와 의미 구성
• 인물들의 개별성과 동질성
• 어머니의 마음 ‘꽃 핀 쪽으로’와 이탤릭체
• 남은 이야기
05. 흰 _강정한
• 들어가며
• 예순다섯 개의 조각이 만들어 내는 한 편의 이야기
• 내면에서 길어 올린 섬세한 감성
• 가능성으로 열려 있는 ‘흰’
• 고통스러운 현실과 인간의 존엄
• 금빛 실로 연결된 한강과 ‘흰 도시’
• 남은 이야기
06. 작별하지 않는다 _황문희
• 들어가며
• 소설 속 인물들을 따라가며 작품 읽기
• 잠들지 않는 남도, 제주도
• 기억을 위한 서사의 방식
• 애도하는 방법
• 기억하는 방법
• 가벼우나 가볍지 않은 소재
• 남은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