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피플 애널리틱스
1. 피플 애널리틱스란 무엇인가? 5
2. 피플 애널리틱스의 핵심 구성요소 8
2.1. 데이터 8
2.2. 분석 기법 9
2.3. 분석의 맥락 10
3. 이 책의 구성 11
II. 인재 선발
1. 인재 선발 15
2. 선발 기준의 변화: 오버스펙에서 온스펙으로 16
3. 효과적인 선발을 위한 방안 17
3.1. 신뢰도와 타당도 확보 18
3.2. 면접자의 편견 최소화 19
[Case Report] 채용 데이터를 활용한 부서 맞춤형 인재 선발 전략 21
1. 문제 정의 21
2. 활용 데이터 소개 23
3. 데이터 전처리 24
4. 탐색적 분석 26
5. 채용 평가 점수와 성과 간의 관계 31
6. 채용 평가 점수를 통해 본 고성과자 특성 분석 37
7. 부서 단위 문화 적합성과 직무 적합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43
8. 핵심 인사이트 50
인재 선발 R코드 52
III. 성과관리
1. 성과 평가 61
2. 성과 평가 방법 63
2.1. 목표 설정 63
2.2. 현대적 성과 평가의 특징 64
2.3. 성과 평가의 단위 65
3. 평가의 객관성과 공정성 66
[Case Report] 고성과 직원의 특성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성과 관리 방안 69
1. 문제 정의 69
2. 활용 데이터 소개 70
3. 데이터 전처리하기 71
4. 탐색적 분석 73
5. 로지스틱 회귀분석 75
6. 머신러닝 기반 성과 예측 82
7. 핵심 인사이트 89
성과관리 R코드 91
IV. 보상관리
1. 보상의 정의와 구성요소 99
2. 보상의 기준 100
2.1. 시장 기준 101
2.2. 직무 구조 101
2.3. 급여 구조 102
2.4. 직무 그룹 102
3. 보상 체계 설계 시 고려사항 103
[Case Report] 급여 데이터 분석을 통한 보상 체계 개선 방향 105
1. 문제 정의 105
2. 활용 데이터 소개 106
3. 데이터 전처리 106
4. 탐색적 분석 109
5. 기본급과 성과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단변량 분석 114
6. 기본급과 성과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다변량 분석 125
7. 핵심 인사이트 135
보상관리 R코드 137
V. 직원 몰입
1. 직원 몰입이란 147
2. 직원 몰입의 다양한 정의와 측정 도구 150
2.1. 욕구-만족 접근법(Need-Satisfying Approach) 151
2.2. 소진-반제 접근법(Burnout-Antithesis Approach) 151
2.3. 다차원 접근법(Multidimensional Approach) 152
2.4. 만족-몰입 접근법(Satisfaction-Engagement Approach) 153
2.5. 그 외의 조직 몰입 정의와 측정 도구 154
[Case Report] 직원 몰입 지표 구성 및 직원 몰입 제고 방안 155
1. 문제 정의 155
2. 활용 데이터 소개 156
3. 직원 몰입 지표 구성: 주성분 분석 157
4. 변수 간 상관관계 확인 163
5. 직원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165
6. 핵심 인사이트 173
직원 몰입 R코드 175
VI. 이직관리
1. 이직과 이직관리 183
2.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84
3. 이직 지표 186
[Case Report] 우리 회사 신입사원이 퇴사하는 이유 188
1. 문제 정의 188
2. 활용 데이터 소개 189
3. 데이터 전처리 189
4. 탐색적 분석 193
5. 사업부별 퇴사 비율의 차이 확인 197
6. 퇴사하는 사람들의 특징 199
7. 생존분석을 활용한 퇴사율 추이 분석 204
8. 핵심 인사이트 216
이직관리 R코드 218
VII. 조직문화
1. 조직문화란 227
2. 조직문화 유형 229
2.1. 경쟁가치 모형 229
2.2. 데니슨의 조직문화 모형 231
3. 하위문화 234
[Case Report] 조직문화 인식에 차이가 나는 원인 탐색 236
1. 문제 정의 236
2. 활용 데이터 소개 236
3. 데이터 전처리 237
4. 문항의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239
5. 구성원의 조직문화 인식 243
6. K-Means 클러스터링을 활용한 하위문화 판별 249
7. 핵심 인사이트 255
조직문화 R코드 258
VIII. 다양성관리
1. 조직에서의 다양성관리 267
2. 여성 인력과 다양성 이슈 269
3. 효과적인 여성 인력 확보 방안 270
[Case Report] 성별 다양성의 현황과 모성보호정책 사용이 승진에 미치는 영향 273
1. 문제 정의 273
2. 활용 데이터 소개 274
3. 데이터 준비 275
4. 탐색적 분석 277
5. 승진에서의 성별 격차 282
6. 모성보호제도 사용이 실적성과와 동료평가에 미치는 영향 285
7. 승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89
8. 핵심 인사이트 294
다양성관리 R코드 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