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5
여는 글 11
제1장 대한제국기 간도 문제의 출현과 간도 정책
1. 간도 문제의 기원 44
2. 대한제국 수립과 간도 문제의 출현 60
3. 러시아의 만주 점령과 간도 정책의 대두 72
제2장 대한제국기 간도 담론의 구조
1. 『북여요선』의 북방 강역 및 간도 문제 인식 96
2. 『대한강역고』의 북방 강역 및 간도 문제 인식 105
제3장 러일전쟁 이후 일제의 간도 정책과 간도 담론
1. 러일전쟁 직후 일제의 간도 정책 124
2. 일청 간도 교섭과 간도협약 141
3. 간도 담론의 분열: 간도 개척과 간도 방기 154
제4장 간도파출소의 간도 문제 인식과 간도 문제의 식민화
1. 간도파출소의 간도 조사 164
2. 간도파출소의 간도 문제 인식 171
3. 중립지대에 의한 간도 문제의 전유 181
제5장 조선총독부의 압록강-두만강 지역 조사와 경계 인식
1. 조선총독부의 압록강-두만강 지역 조사 194
2. 조선총독부의 압록강-두만강 경계 인식 211
제6장 1910~1920년대 간도 한인과 간도 담론
1. 한인의 간도 및 만주 이주와 중일의 간도 정책 232
2. 간도 담론의 확산 및 분열: 만주개발론과 귀화론 249
3. 재만 한인의 구축과 자치론의 발흥 260
제7장 1930년대 전반 간도 문제의 소환과 간도 담론의 변용
1. 치외법권 철폐문제와 간도 문제 270
2. 만몽 문제와 간도 문제 279
3. 간도 문제의 소환과 간도협약의 재평가 291
닫는 글 303
미주 312
참고문헌 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