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제Ⅰ부 샤머니즘ㆍ민속문화ㆍ국가체제의 민속인류학
제1장 민속인류학: 인간과 문화 연구의 새로운 방향
1. 민속학과 인류학, 민속인류학
2. 민속인류학과 인류민속학
3. 사하인과 사하 문화의 민속인류학
제2장 샤머니즘 연구: 사하 샤머니즘을 중심으로
1. 시베리아와 사하 샤머니즘 연구의 의의
2. 19세기까지의 민족지적 연구
3. 진화론과 민족지적 연구
4. 전파론과 현상학적 접근
5. 국가와 민족의 샤머니즘
제3장 국가 체제와 정책의 민속인류학
1. 국가 정책과 민속인류학
2. 국가 체제와 민속문화, 샤머니즘
제Ⅱ부 러시아 식민주의ㆍ제국주의와 사하 샤머니즘, 민속문화
제1장 서론
1. 문제제기
2. 기존 연구 검토와 Ⅱ부의 목표
제2장 일반적 개관
1. 자연
2. 정치
3. 민족의 기원
4. 언어
제3장 러시아 제정
1. 점령부터 18세기까지
2. 19세기 식민 정책
3. 러시아정교의 선교
4. 식민화
제4장 사하 경제
1. 생산
2. 노동 조직
3. 시장 경제
제5장 사회ㆍ정치 조직의 변화
1. 전통 조직의 구조와 기능
2. 행정조직, 나슬렉과 울루스
3. 토욘
제6장 종교 상상 세계
1. 세계상
2. 인간상
3. 신
제7장 백샤머니즘과 흑샤머니즘
1. 백샤머니즘
2. 흑샤머니즘
3. 의례
제8장 사회 속의 샤먼
1. 백샤먼과 사회
2. 흑샤먼과 사회
3. 러시아정교와 사하 문화
4. 사하 문화 변동과 샤먼
제9장 결론
제Ⅲ부 샤머니즘에 대한 새로운 접근: 국가 이념체제ㆍ정책과 민속문화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제1장 식민주의와 샤먼
1. 문제제기
2. 러시아 식민지배 - 토욘의 권력 증가
3. 사하 백샤먼과 토욘 그리고 러시아 식민권력
4. 샤머니즘의 부흥? - 결론에 대신하여
제2장 흑샤머니즘의 구조와 변화
1. 서론
2. 사하 샤머니즘
3. 사하 흑샤머니즘
4. 결론-현재의 샤머니즘과 그 미래
제3장 백샤머니즘과 국가 체제
1. 서론
2. 소비에트 정권과 샤머니즘
3. 1990년대의 열린 공간과 새로운 시도
4. 민족주의의 쇠퇴와 샤머니즘
5. 결론: 사하 전통 샤머니즘의 쇠퇴
제4장 세계관과 인간관
1. 문제제기
2. 종교적 초월세계
3. 세계관
4. 죽음에 대한 태도와 의례
5. 결론
제5장 무복의 인류민속학
1. 서론
2. 무복의 상징성
3. 무복과 사하 민속문화
4. 사하 샤머니즘과 러시아 식민주의
5. 요약 및 결론
제6장 으흐아흐 의례축제와 국가 체제: 체계구조와 강제선택론을 중심으로
1. 서론
2. 으흐아흐 의례축제와 샤머니즘
3. 으흐아흐 의례축제의 변화와 연속
4. 의례축제와 종교, 국가 체제
제7장 민족 정책과 민족성
1. 민족 문제와 민족성
2. 역사와 인구구성
3. 러시아의 민족정책
4. 사하 민족성과 문화
5. 전통과 민족문화
제Ⅳ부 사하 샤머니즘과 민속문화, 민속세계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