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며 4
제1장 대학원 바로 알기
달라지는 공부의 의미 16
황홀한 고통의 세계 20
문제의식의 생활화 24
시작도 논문, 끝도 논문 27
세상에 없는 지식의 생산 31
논문 쓰기 면허연습장 34
일반대학원, 특수대학원, 전문대학원 38
전일제(full-time)와 시간제(part-time) 46
대학원의 서열화 49
같은 학교 같은 전공, 다른 학교 다른 전공 53
학회 활동 57
대학원 용어들 60
제2장 박사가 뭐길래
박사(博士)의 의미 72
박사와 석사의 차이 75
성실한 자만 밟을 수 있는 고지 79
멀고 험한 길 83
수료와 졸업 86
학위논문제출자격시험 89
국내에는 얼마나 많은 박사가 있나 92
국내 박사와 국외 박사 97
교수와 연구원 100
박사가 되면 달라지는 것들 105
학자의 삶, 품위와 품격 110
학위가 보장해 주는 건 아무것도 없다 114
작은 기회부터 찾아온다 118
모든 교수는 박사인가 122
제3장 지도교수의 존재
대학원생에게 지도교수란 126
지도교수의 선택 130
지도교수의 인격 134
지도교수는 늘 바쁘다 138
지도교수와 소통법 143
연구안내자이자 연구동반자 147
가장 어려운 존재, 가장 친해야 할 존재 151
졸업해도 이어지는 인연 155
교수의 안식년제와 교환교수제 158
제1 저자와 책임저자 162
입학할 때와 졸업할 때 167
청탁금지법과 지도교수 173
제4장 논문이 뭐길래
논문이란 어떤 글인가 178
피드백(feedback)과 코멘트(comment) 183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 187
학술지의 종류와 등급 192
연구방법론 196
학술지에 논문 싣기 201
참고문헌 205
학위논문 심사의 선행 조건 209
논문 검색 215
학술지논문 활용 학위논문 쓰기 218
논문에 집중 또 집중 222
제5장 마지막 관문 논문 발표와 심사
첫 관문 연구계획 발표 226
두 번째 관문 공개발표 230
생사의 갈림길, 심사 233
1차 심사 237
2차 심사 241
논문 심사위원의 선정 245
엄숙한 의식의 장 248
발표의 기술 252
초 죽음 3개월 255
논문이 뭔지 깨닫는 순간 258
사라진 초고 261
완벽주의 함정 264
옛말이 된 표절 시비 267
논문의 보관 271
학위수여식 275
집필을 마치고
출간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