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물, 바다 그리고 해양철학
1.1 물의 어원과 철학적 의미
1.2 바다의 의미와 어원
1.3 바다의 상징과 철학적 의미
1.4 해양철학이란 무엇인가? 정의와 필요성 그리고 다양한 주제
2장 해양 철학의 역사적 기원과 발전
2.1 서양의 해양철학
2.1.1 고대 철학에서의 해양의 의미
2.1.2 중세와 르네상스(Renaissance) 시대의 해양에 대한 철학적 의미
2.1.3 근대 철학에서의 해양의 인식과 철학적 의미
2.1.4 현대 철학에서 해양의 철학적 의미
2.2 동양의 해양철학
2.2.1 고대 동양 해양철학의 기원과 의미
2.2.2 중세 동양 해양철학의 개념과 중요성
2.2.3 근대 동양 해양철학의 변화와 중요성
2.2.4 현대 동양의 해양철학 흐름과 발전과정
2.2.5 한국의 해양철학과 해양사상의 기원과 발전과정
3장 해양과 인간
3.1 해양의 문화, 사회적 의미: 신화와 전통
3.2 해양 탐험의 역사: 인간의 호기심과 도전
3.3 해양에서의 삶: 인간과 바다의 철학
4장 해양윤리학과 해양 철학의 쟁점들
4.1 해양 자원의 공정한 분배 - 해양의 주권과 국제법, 공공재로서의 바다
4.2 환경 윤리, 해양 생태계 보호와 기후변화
4.3 생명체와 생태계에 대한 윤리적 책임 - 인간중심주의 vs. 생태중심주의
4.4 공리주의적 접근 vs. 의무론적 접근에서 해양 자원의 사용과 보존
5장 해양철학의 미래
6장 해양을 품은 철학자와 사상가들
6.1 탈레스(Thales)
6.2 헤라클레이토스(Heraclitus)
6.3 석가모니(Gotama Siddhattha)
6.4 노자(Laozi 李耳)
6.5 랄프 월도 에머슨(Ralph Waldo Emerson)
6.6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6.7 칼 슈미트(Carl Schmitt)
6.8 레이첼 카슨(Rachel Louise Carson)
6.9 앨프리드 세이어 머핸(Alfred Thayer Mahan)
6.10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
6.11 최남선(崔南善)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