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금강경(金剛經)이란
금강경(金剛經) 내용 요약
제일, 법회인유분(법회가 열리던 날)
제이, 선현기청분(수보리가 법을 청하다)
제삼, 대승정종분(대승의 바른 가르침)
제사, 묘행무주분(걸림 없이 베푸는 삶)
제오, 여리실견분(여래를 보다)
제육, 정신희유분(바른 믿음)
제칠, 무득무설분(얻을 것도 설할 것도 없는 진리)
제팔, 의법출생분(법에 의하여 나온다)
제구, 일상무상분(하나의 상도 본래 상이 없다)
제십, 장엄정토분(정토를 장엄하다)
제십일, 무위복승분(무위의 수승한 복)
제십이, 존중정교분(바른 가르침을 존중하다)
제십삼, 여법수지분(여법하게 받아 지니다)
제십사, 이상적멸분(상을 여의어 적멸함)
제십오, 지경공덕분(경을 받아 가지는 공덕)
제십육, 능정업장분(업장을 맑히다)
제십칠, 구경무아분(마침내 나도 없다)
제십팔, 일체동관분(일체를 하나로 보다)
제십구, 법계통화분(법계를 교화하다)
제이십, 이색이상분(색을 떠나고 상을 여의다)
제이십일, 비설소설분(설할 것이 없는 설법)
제이십이, 무법가득분(얻을 바 없으니)
제이십삼, 정심행선분(텅 빈 마음으로 선을 행하다)
제이십사, 복지무비분(복과 지혜는 비교할 수 없다)
제이십오, 화무소화분(교화하여도 교화함이 없다)
제이십육, 법신비상분(법신은 상이 아니다)
제이십칠, 무단무멸분(끊어짐도 아니고 멸함도 아니다)
제이십팔, 불수불탐분(받지도 탐하지도 않는 복덕)
제이십구, 위의적정분(위의가 적정하다)
제삼십, 일합이상분(하나로 합한 이치)
제삼십일, 지견불생분(지견을 내지 않는다)
제삼십이, 응화비진분(응·화신이 진신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