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1 어지럼과 역학
1. 서론
02 말초전정계의 해부와 생리
1. 전정기관의 발생
2. 말초전정계의 구조
3. 말초전정계의 기능
03 중추전정신경계의 해부와 생리
1. 전정신경핵 복합체
2. 전정, 척수 소뇌
3. 상행성, 하행성 전정신경로와 연관 구조물(안구운동핵, 시상, 전정피질, 척수)
4. 전정신경계와 자율신경계의 해부-생리적 연관성
04 안구운동의 기초
1. 외안근의 구조와 기능
2. 3차원 공간에서 안구운동의 이해
3. 안구운동의 기능적 분류
4. 결론
05 어지럼 환자 병력청취
1. 병력청취 방법
2. 효과적인 병력청취의 중요성
06 어지럼 척도/설문 및 활용
1. 서론
2. 어지럼장애척도
3. 전정질환일상활동척도
4. 그 밖의 설문
5. 임상에서의 적용
6. 결론 및 제언
07 신경이과적 진찰
1. 서론
2. 안진검사
3. 안구운동검사
4. 전정안반사
5. 신경학적검사
6. 의심되는 질환에 맞는 신체검진
7. 결론
08 안진과 부적절한 신속안구운동
1. 서론
2. 안진
3. 부적절한 신속안구운동
4. 치료
09 안구운동검사
1. 서론
2. 신속안구운동
10 온도안진검사
1. 서론
2. 원리 및 가설
3. 검사의 종류 및 방법
4. 검사결과 및 해석지표
5. 질환에 따른 검사 결과
6. 결과해석 시 유의사항
7. 온도안진검사의 의의와 장단점
11 회전검사
1. 서론
12 자세와 보행
1. 서론
13 이석기능검사
1. 서론
2. 전정유발근전위
3. 주관적시수직검사
4. 안저촬영
14 비디오두부충동검사
1. 서론
2. 비디오두부충동검사의 방법, 원리 및 결과해석지표
3. 말초전정병증의 적용
4. 온도 안진 검사와의 비교
5. 억제두부충동검사
6. 중추전정병증의 적용
7. 결론
15 청력검사
1. 소리굽쇠검사
2. 순음청력검사
3. 어음청력검사
4. 임피던스 청력검사
5. 자기청력검사
6. 누가현상검사
7. 청각피로검사
8. 전기와우도
9. 청성뇌간반응
10. 청성지속반응
11. 이음향방사검사
16 전정계의 영상
1. 서론
2. 전정계의 영상해부학
3. 전산화단층촬영
4. 자기공명영상
5. 기능적 신경영상
17 자율신경기능검사
1. 전정-자율신경계 조절의 임상적 의의
2. 자율신경기능검사의 종류와 의의
18 급성일측전정병증
1. 서론
2. 용어 및 역사적 고찰
3. 발병원인
4. 병리기전
5. 임상양상
6. 검사소견
7. 감별진단
8. 임상 경과
9. 치료방침
19 뇌졸중에 의한 전정질환
1. 서론
20 내이 감염성 및 자가면역성 질환
1. 서론
2. 내이의 감염성 질환
3. 자가면역성 전정질환
21 중추전정계의 자가면역성 질환
1. 중추전정계
2. 진찰 소견
3. 자가면역 질환
22 양성돌발두위현훈
1. 이석의 발생과 조절
2. 역학
3. 양성돌발두위현훈의 원인
4. 양성돌발두위현훈의 안진
5. 병리학적 가설
6. 양성돌발두위현훈의 신체검사
7. 양성돌발두위현훈의 진단
8. 양성돌발두위현훈의 치료
9. 치료의 이론적 배경
10. 치료 전 주의사항
11. 각 반고리관 형태에 따른 양성돌발두위현훈의 치료 방법
12. 이석정복술의 치료 횟수
13. 치료 후 완치 판정과 추적관찰 스케줄
14. 이석정복술에서 진동기 사용과 치료 후 주의사항
15. 양성돌발두위현훈에서 전정재활치료
16. 양성돌발두위현훈의 약물 치료
17. 치료의 실패요인과 난치성 양성돌발두위현훈
18. 양성돌발두위현훈의 예후 및 예방
23 중추체위현훈과 안진
1. 서론
2. 체위변화와 중추신경계의 역할
3. 중추체위현훈과 안진의 분류와 임상특징
4. 중추체위현훈과 안진의 진단 및 양성돌발체위현훈과의 감별진단
5. 중추체위현훈의 원인질환과 병변의 위치
6. 중추체위현훈과 안진의 기전
7. 결론
24 기립어지럼
1. 기립어지럼이란?
2. 기립못견딤증
3. 기립어지럼의 역학
4. 혈류역학기립어지럼/현훈의 진단 기준
5. 혈류역학기립어지럼과 관련된 증후군
6. 혈류역학기립어지럼의 감별진단
7. 혈류역학기립어지럼의 진단
8. 혈류역학기립어지럼의 치료 및 예후
9. 결론
25 외림프누공
1. 서론
2. 본론
3. 치료 및 예후
4. 증례
5. 결론
26 메니에르병
1. 서론
2. 역학 및 분류
3. 병태 생리 및 원인
4. 임상 증상
5. 진단
6. 경과 및 예후
7. 감별진단
8. 치료
9. 결론
27 전정편두통
1. 역학
2. 진단과 임상양상
3. 신경이과적진찰 및 검사실소견
4. 감별진단
5. 치료
28 소아어지럼
1. 서론
2. 소아어지럼의 특징
3. 진단
4. 소아어지럼증 질환
5. 결론
29 양성발작성현훈
1. 서론
2. 역학
3. 진단기준
4. 임상양상
5. 검사소견
6. 병인
7. 치료 및 예후
8. 결론 및 제언
30 상반고리관피열증후군
1. 서론
2. 발생 빈도
3. 원인
4. 병태생리
5. 진단
6. 치료
7. 결론
31 전정발작
1. 서론
2. 역학
3. 병태생리학
4. 증상
5. 검사
6. 진단 기준
7. 감별진단
8. 치료
9. 결론
32 전정신경초종
1. 서론
2. 증상
3. 진단
4. 치료
33 노인어지럼
1. 서론
2. 병태생리와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34 양측 전정병증
1. 서론
2. 발생빈도와 임상증상
3. 양측 전정병증의 발생원인
4. 양측 전정병증의 진단
5. 양측 전정병증의 치료와 예후
35 퇴행성질환에 의한 어지럼
1. 서론
2. 인지장애로 발현하는 퇴행성질환에서 안구운동이상 및 어지럼
3. 파킨슨증후군에서의 안구운동이상 및 어지럼
4. 결론
36 지속체위지각어지럼
1. 서론
2. 지속체위지각어지럼
37 내이의 선천성 및 유전성 질환과 연관된 어지럼
1. 서론
2. 상염색체 우성유전
3. 상염색체 열성유전
4. 성염색체 연관 유전
5. 증후군성 유전성 난청 및 전정증상
6. 기타 내이기형
7. 유전성 메니에르병
8. 결론
38 소뇌실조증후군 및 소뇌의 유전질환
1. 서론
2. 소뇌실조의 임상양상
3. 소뇌실조의 원인질환
4. 소뇌실조의 진단적 접근
39 외상성 어지럼
1. 서론
2. 외상의 분류
3. 병리기전 및 임상양상
4. 전정기능검사에서 고려할 점
5. 증상 기간에 따른 치료방침
6. 비전정계통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외상 후 어지럼증의 진단과 치료
40 멀미
1. 서론
2. 바라니 진단기준 확립을 위한 증상
3. 진단 기준
4. 멀미의 임상적 특징
5. 멀미 실험실 검사
6. 감별 진단
7. 치료
41 내과적 질환과 관련된 어지럼
1. 서론
2. 심혈관질환
3. 대사질환
4. 전신자가면역질환
5. 약물유발어지럼
6. 결론
42 어지럼의 약물 치료
1. 서론
2. 급성기 현훈 발작의 약물 치료
3. 재발성 현훈의 약물 치료
4. 후천적 안진의 약물 치료
5. 지속적 체위-지각 어지럼의 약물 치료
43 전정보상과 재활운동
1. 전정보상
2. 전정재활의 개요
3. 전정재활을 위한 평가 방법
4. 전정재활치료의 방법
5. 질환별 전정재활치료
6. 전정재활의 신기술 분야
7. 맺음말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