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CHAPTER 1. 삼 김 시대를 지나며
PART 1. 6공화국의 시작, 나의 시작
1) 6공화국의 시작과 함께하다
2) 3당 합당, 나는 기억할까?
3) 북방정책, 그리고 불곰사업
4) 해외, 첫 이주의 기억
PART 2. 문민정부 시대와 나의 유년
1) 기억의 시작, 민주주의의 실험
2) 성수대교 붕괴, 무거웠던 충격
3) 국민학교에서 초등학교로
4) 삼풍백화점 붕괴, 공포를 가르치다
5) 검도도장과 전두환, ‘갈긴다’
6) IMF 전야, 유년의 경제 공포
PART 3. 국민의 정부의 기억
1) IMF를 넘어서, 모두 새로운 시작
2) 디지털과 드라마, 꿈을 결정하다
3) 이해찬 1세대, 교육 개혁의 시험대
4) 2002년의 붉은 물결, 그리고 2003년
CHAPTER 2. 두 번의 탄핵을 지나며
PART 4. 참여정부, 개인과 정치의 혼돈 속에서
1) 귀국과 복학, 다시 한국, 다시 교실
2) 처음 만난 탄핵이라는 말
3) 입시의 시간, 사회는 더 요동친다
4) 대입과 경험한 청와대
5) 참여정부를 통과한 나
PART 5. 이명박 정부, 정치와 삶의 교차로
1) 장학금도 정책이다, ‘행정’의 무게
2) 생애 첫 정치적 참여
3) 군대와 뉴스, 연대보고서 속 대통령
4) 안보의 공포와 경제의 불안
5) 녹색이념, 캠퍼스에 스며들다
6) 풍자와 저항의 리듬
PART 6. 박근혜 정부, 회사원의 시작
1) 사회인이 된다는 것
2) 2014년 4월, 세월호의 기억
3) 헬조선이라는 이름의 나라
4) 잘못된 선택과 환상 뒤의 균열
5) 다시 만난 탄핵이라는 말
CHAPTER 3. 세 번째 탄핵을 지나며
PART 7. 문재인 정부, 가족의 시간
1) 시작은 가족이었다
2) 폭등의 기억, 말과 현실의 괴리
3) 정책 아래 무너진 현실
4) 조국과 정의에 대한 혼란
5) 팬데믹의 시간을 겪으며
6) 나와 국가의 거리를 느끼다
PART 8. 윤석열 정부, 균열과 일상의 교차점
1) 0.7%의 대통령, 시끄러운 출발
2) 복지와 현실의 접점은 멀구나
3) 다시 움직인 부동산에 올라타다
4) 세 번째 겪는 탄핵이라는 말
5) 일상과 균열 사이에서
PART 9. 새로운 7공화국에게 바란다
1) 이제는 구조를 바꿀 때
2) 대선과 총선을 동시에
3) 교차 순환 구조의 제안
4) 국익을 우선하는 마음이 먼저다
5) 리듬부터 새로워야 한다
에필로그 기억의 공화국, 그리고 우리가 맞이할 다음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