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권두 화보
개정 대중판 책머리에: 독립운동사 대중화를 꿈꾸며
구판 서문: 책을 내면서
1부 신흥무관학교
들어가는 글: 독립운동 기지 건설운동과 신흥무관학교
1장 무장투쟁의 땅을 찾아서
1. 민족운동 기지 건설의 효시 - 북간도 서전서숙
2. 독립운동 기지 건설의 구체화
3. 안동 등 경북 지방 인사들의 참여
2장 꿈과 눈물의 터전 ‘서간도’
1. 독립운동의 기반 - 서간도 이주민
2. 민족주의자들은 왜 만주를 중시했나
3. 자연조건의 양면성
4. 입적과 토지 매매 문제
5. 변장운동
6. 서간도 이주민의 생활 기반과 조건
3장 백만 배의 뜻, 백만 배의 힘
1. 경학사와 부민단
2. 전기 신흥무관학교
3. 신흥학우단과 백서농장
4장 독립운동의 불꽃, 만주 벌판에 타오르다
1. 한족회와 군정부 - 서로군정서
2. 후기 신흥무관학교
3. 신흥무관학교 생도들의 이동과 청산리전쟁
2부 독립운동 이념, 망명자 사회, 여성
5장 땅에다 씨를 뿌리듯이
1. 독립운동의 방향 - 신흥무관학교 관계자 중심으로
2. 사회진화론의 수용 방향과 교육
3. 정치 이념과 민족의식
4. 애국정신·민족의식의 고취
6장 망명자 사회, 그 엄숙과 견결의 세계
1. 도덕, 예절에 대한 관점
2. 전통문화에 대한 관점
3. 복벽 문제에 대한 관점
7장 절반의 독립운동자
1. 여성과 망명자 사회
2. 여성과 독립운동
3. 독립운동과 부부 생활
4. 독립운동자 아내의 통한
무면도강: 재가 되어 뿌려지다
1. 시사여귀視死如歸의 심정으로
1) 이상설(1870~1917)
2) 이회영(1867~1932)
3) 이석영(1855~1934)
4) 이시영(1869~1953)
2. 인생은 다할 때가 있는 것
1) 이상룡(1858~1932)
2) 김동삼(1878~1937)
미주
참고문헌
이회영 일가 가계도| 이상룡 일가 가계도| 김대락, 김동삼 등 의성 김씨 가계도| 허위 등 김해 허씨 가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