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제1장 빈 1900의 모더니즘
모더니즘의 기원
빈 모더니즘의 특징
빈 의대와 로키탄스키의 혁신
무의식의 세계를 보라
프로이트를 비판한 슈니츨러
클림트와 여성 성욕의 해방
추커칸들 살롱
심리학과 예술의 결합
뇌는 모호함을 참지 않는다
우리는 어떻게 얼굴을 알아보는가
얼굴에 민감한 세포들
거울 뉴런에 대하여
유대인 화가 집단의 출현
애호가, 후원자, 구매자
빈 1900을 만든 유대인들
돌이켜보는 ‘기나긴 그림자’
제2장 섕 수틴의 실존적 불안
십계명, 아슈케나지, 신비주의 논쟁
19세기 유대인 화가들과 파리화파
샤갈과 대비되는 수틴
동물 사체를 그리다
수틴의 일그러진 초상화
매혹하는 얼굴들
얼굴 인식의 뇌과학
물감의 질감을 빚어내다
촉각·시각·감정의 상호작용
제3장 코코슈카, 실레, 클림트
매혹적이지만 얻을 수 없는
불안과 에로티시즘
과장된 얼굴 표정과 뇌의 반응
여성의 성욕에 관한 감수성
에로티시즘과 공격성의 상호작용
성애가 지식의 추구인 까닭
제4장 초상 미술과 감상자의 몫
얼굴은 왜 그렇게 특별할까
초상 미술의 간략한 역사
강력한 이미지는 모호하다
‘순수한 눈’이라는 착각
창의성 기계로서의 뇌
얼굴 인식의 심리학과 생물학
과학과 미술의 새로운 대화
제5장 입체주의의 도전
기존의 회화 너머로 나아가다
시지각의 창의성
입체주의가 주목한 하향 처리
피카소의 얼굴 묘사의 진화
‘콧수염 남자’ 그림을 읽는 법
제6장 조각에 대하여
조각의 짧은 역사
조각은 회화와 어떻게 다른가
사례들
제7장 추상 미술 감상은 어떻게 다른가
추상 미술의 신경미학
주관적 경험의 차이를 측정하다
거리감에 관한 세 가지 실험
시공간의 확장과 연결
옮긴이 후기
주석 및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