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i
PART 01 관계맺기
CHAPTER 01 들어가며: 관계맺기로서의 사회과교육 5
CHAPTER 02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 21
1. 비인간 행위자의 등장...........................................................21
2. 나(I)-너(You)의 관계 vs 나(I)-그것(It)의 관계................25
3. 주인-대리인 관계(principal-agent relationship).......29
CHAPTER 03 인간과 인공지능의 관계 33
1. 상호협력 대 집단경쟁의 관계..............................................36
2. 주인-대리인 2.0 또는 일반인-전문가 관계 & 정치적 관계..........................................................................................38
3. 법적 권리-의무 관계 & 도덕적, 윤리적, 종교적 관계......40
4. 주체성의 위계: 홀로주체성 〈 위임주체성 〈 신임주체성
〈 서로주체성........................................................................... 45
CHAPTER 04 인공지능 시대를 준비하는 사회과교육 47
1. 비인간에 대한 관점의 변화: ‘사용’에서 ‘관계’로...............47
2. 시민성의 토대 확장: ‘근대’에서 ‘비근대’로........................50
3. 사회과교육의 과제: ‘사회적인 것’의 재설정......................52
PART 02 물질적 전환
CHAPTER 05 Rethink Society! 59
CHAPTER 06 ‘사회적인 것’의 변화 65
1. 기존의 사회: 인간중심주의(anthropocentrism)............65
2. 비인간(非人間)의 등장과 새로운 사회상: 물질적 전환.....68
CHAPTER 07 사회과교육의 대응과 난관(難關) 77
1. 사회과교육의 대응.................................................................77
2. 사회과교육의 아포리아: ‘근대’와 ‘주체’.............................93
CHAPTER 08 ‘조정된 주체’의 ‘제3의 주체성’ 99
PART 03 시민성
CHAPTER 09 과학기술에 대한 비판과 참여 115
1. 과학기술의 본성과 과학기술사회의 위험........................115
2. 과학기술과 시민 참여.........................................................118
CHAPTER 10 과학기술의 가치 인식과 활용 125
1. 과학기술의 현실적합성과 문제해결력..............................125
2. 과학기술의 사회적 적용.....................................................127
CHAPTER 11 시민성의 두 측면: 안과 밖 139
CHAPTER 12 과학기술 시민성 143
1. 사회과 밖을 향한 과학기술 시민성...................................143
2. 사회과 안을 향한 과학기술 시민성...................................147
PART 04 민주주의
CHAPTER 13 누가 이 사회를 이끄는가? 155
CHAPTER 14 전문성의 한계와 일반인의 역할 161
1. 전문 영역의 특징과 전문성의 한계...................................161
2. 일반인의 역할과 전문가와의 관계....................................169
CHAPTER 15 전문가 - 일반인 관계의 법 · 정치적 적용 181
1. 민주주의의 불만: 간접 및 직접민주주의의 한계.............183
2. 민주주의의 갱신: 간접과 직접의 이분법을 넘어.............190
CHAPTER 16 대칭적 민주주의 201
나오며 공룡 길들이기, 인공지능 교육하기 207
후기: 관계의 가치...........................................................................219
부록 01: 원하는 이미지를 얻기 위한 챗gpt와의 상호작용.....220
부록 02: 챗gpt를 통한 논문의 핵심 주장 및 근거 파악..........227
부록 03: 챗gpt를 이용한 양자 컴퓨터 공부..............................300
부록 04: 챗gpt에게 책표지 디자인을 의뢰하다
- 인공지능에게도 직관이 있다? -.............................. 320
참고문헌...........................................................................................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