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유럽연합의 발전과정 15
1.1 유럽연합의 발전 17
1.2. 유럽연합의 회원국 확대 26
제2장 유럽연합의 주요기관 35
2.1 유럽연합의 7개 공식기관 37
2.2 현 유럽연합 지도부 출범(2024.12.1.) 40
2.3 직전 유럽연합 지도부 출범(2019.12.1.) 43
2.4 유럽연합의 7개 공식기관: ①EU 정상회의 47
2.5 유럽연합의 7개 공식기관: ②EU 각료이사회 50
2.6 유럽연합의 7개 공식기관: ③EU 집행위원회 55
2.7 유럽연합의 7개 공식기관: ④유럽의회 62
2.8 유럽연합의 7개 공식기관: ⑤유럽중앙은행 71
2.9 유럽연합의 7개 공식기관: ⑥EU 사법재판소 72
2.10 유럽연합의 7개 공식기관: ⑦유럽회계감사원 74
2.11 유럽연합의 여타 기관 76
2.12 유럽연합 내 각 회원국 간 역학관계 79
제3장 유럽연합의 주요정책 결정과정 83
3.1 유럽연합의 정책 결정 85
3.2 유럽연합의 공동통상정책 88
3.3 유럽연합의 외교정책 91
3.4 유럽연합의 예산 운용 102
3.5 유럽연합의 경쟁정책 107
3.6 유럽연합의 환경ㆍ에너지정책 112
3.7 유럽연합의 법무ㆍ내무정책 118
3.8 유럽연합의 보건정책 124
3.9 유럽연합의 문화ㆍ교육정책 127
제4장 유럽연합의 주요 대외관계 131
4.1 세계에서의 유럽연합 133
4.2 유럽연합과 영국 134
4.3 유럽연합과 스위스 141
4.4 유럽연합과 미국 145
4.5 유럽연합과 중국 151
4.6 유럽연합과 러시아 157
4.7 유럽연합과 일본 168
4.8 유럽연합과 중동ㆍ아프리카 172
4.9 유럽연합과 나토 175
4.10 유럽연합과 아세안 187
제5장 한국과 유럽연합 관계 197
5.1 중층적인 한국과 유럽연합 관계 199
5.2 한국과 유럽연합 정무 관계 202
5.3 한국과 유럽연합 경제ㆍ통상관계 210
5.4 한국과 유럽연합 안보협력 226
제6장 유럽연합과 북한 관계 231
6.1 유럽연합은 북한 문제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233
6.2 단계적으로 발전한 유럽과 북한 관계 234
6.3 유럽연합의 대북 정책 243
6.4 러시아와 북한 관계 253
제7장 유럽연합의 국제사회에서의 의미 259
7.1 유럽연합의 규정을 만드는 힘: 브뤼셀 효과 261
7.2 유로화의 운용 및 장래 266
7.3 솅겐 협정 271
제8장 한국과 유럽연합은 어디로? 277
8.1 유럽연합의 위상 279
8.2 유럽연합의 장래 286
8.3 한국의 퍼스트 무버 전략 290
참고문헌 296
인명색인 297
사항색인 302